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퓨리오사AI'가 시리즈C 브릿지 라운드에서 총 17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로써 퓨리오사AI는 기업가치 1조원을 돌파하며 유니콘 반열에 올라섰다.
이번 라운드 8300억원의 기업가치를 바탕으로 40여개 기관이 참여했다. 산업은행(300억원), 기업은행(100억원)과 그 계열사인 IBK증권(60억원), IBK벤처투자(50억원), 유진-성장금융펀드(116억원)에 더해 케이스톤파트너스(200억원), 피아이파트너즈(132억원), 대성창업투자(50억원) 등의 사모펀드(PE), 카카오인베스트먼트(30억원) 등이 참여했다. 퓨리오사AI는 이번 투자금을 레니게이드 양산과 3세대 제품 초기 개발에 사용할 예정이다.
퓨리오사AI는 "국내 딥테크 기업 중 드물게 기업가치 1조원을 돌파하며 유니콘 반열에 올라섰다"며 "시드 투자 유치부터 시리즈 C까지 7년간 유치한 누적 투자금에 상응하는 규모의 투자를 이번 단일 C 브릿지 라운드에서 유치하며 시장으로부터의 꾸준한 기대감과 신뢰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라운드에서는 기술·시장 리스크가 높은 초기 기업에는 잘 투자하지 않는 PE가 총 400억원 규모로 복수 참여한 점도 강조했다. 퓨리오사AI가 자본시장으로부터 기술·제품 시장성을 인정받아 성장 단계 기업으로 도약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퓨리오사AI는 최근 자사 2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레니게이드(RNGD)'를 LG AI 연구원 대규모 언어모델 '엑사원(EXAONE)'에 공급하면서 기업 엔터프라이즈 시장에 진출했다. 공급을 위한 선정 과정에서 레니게이드가 LG 측의 고성능 조건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기존 그래픽처리장치(GPU) 대비 2.25배 높은 전력당 성능을 보인 만큼 LG 엑사원 사례가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들을 대상으로 유력한 레퍼런스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투자 유치는 레니게이드 양산에 진입하는 중요한 시점에 자본시장이 당사 기술력과 비전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내고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반드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를 대상으로 매출 확대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이 미국, 중국과 함께 AI G3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AI 반도체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는 단순한 목표가 아니라 반드시 해내야 할 사명"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