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소통 리더십'...여야정협치위원회 복원 재가동 이뤄냈다 [강대웅의 정문일침(頂門一鍼)]

  • 8월초 재출범, 도정 현안 심층 협의 다시 시작

  • 김 지사 협치 정무라인 노력 뜻있는 결실 평가

  • 경기도의회 여야 정치권 미래 위해 화답 기대

사진경기도
김동연 도지사(왼쪽 세번째)가 김진경 의장(오른쪽),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왼쪽), 김정호 국민의힘 대표의원(왼쪽 두번째)과 경기도 발전을 위해 '여야정협치위원회' 복원에 뜻을 같이했다. [사진=경기도]
역시 대화의  물꼬를 튼 것은 김동연 지사다. '여야정협치위원회'를 다음달 초 출범 시키기로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여야가 뜻을 같이했다. 1년간 개점휴업 상태였던 협치라인이 재가동되며 본 결실이다. 기타 경기도 현안에 대한 소통도 활발히 진행되며 협치도 복원되고 있다.

도의회와의 협력 강화를 도모한 김 지사가 '소통과 협치 리더십'을 발휘한 덕분이다. 그동안 경기도와 의회 여야 간 소통 부재로 적잖은 문제가 발생했었다. 주요 조례안, 예산안, 도 현안 등 도정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의 심도있는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행정과 의회의 효율적 연계는 고사하고 반목과 불신을 키우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간 도의회는 여야정협치위원회의 정상화를 지속 요구해 왔다. 도의회 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협치기구를 조속히 개편·가동하자는 입장도 밝혔다. 하지만 경기도는 미진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 1년 가까이 공전을 거듭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정무직 협치라인의 부재도 그중하나였다.

하지만 지난 5월 민주당 대선 경선 참여 이후 복귀한 김 지사는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4대 정무수석과 비서실장에 대한 인사를 마무리하고 심기일전, 협치 복원에 나섰다. (2025년 6월 4일 자 아주경제 보도)

담당자들에겐 소통에 더 많은 역할을 부여했다. 그리고 한 달여 만에 협치라인 복원을 통한 '여야정 협치위원회' 출범을 이룬 것이다.

김 지사의 협치 리더십 발휘에는 결과만 있는 것이 아니다. 변화도 가져왔다. 특히 기존 의회를 대하는 김 지사의 '패러다임' 변화도 거기에 포함된다. 도의회에 대한 피드백이 전에 없이 빨라졌고, 의원들의 활동에 관심도 높아졌다. 김 지사는 도정복귀 이후 도의원들이 하는 정책토론회에 일일이 축사를 보내 공감을 표시하며 함께 하고 있는 것도 그중 하나다.

도 위원들, 특히 여야 대표들이 이구동성 김 지사의 태도 변화를 이야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동을 건 소통과 상생, '여야정협치위원회' 재가에 도민들은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물론 1년 남은 민선 8기 경기도정의 앞날에 협치를 막을 장애물은 적지 않다. 당장 경기북도 문제를 비롯해 중단된 민생 법안 등 산재한 현안이 한둘이 아니다.

김동연표 3차 추경 등도 협의체를 통해 풀어야 할 난제다. 김 지사의 당초 약속했던 공약 중 미완성도 아직 많다. 생활 밀착형 공약부터 대형 국책사업까지 다양한 공약들이 포함돼 있다. 협치는 상대방을 설득하거나 굴복시키는 것이 아니다. 서로 다른 입장과 이해를 조율하며 도민 위한 최적의 해법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여야정협치위원회가 이를 녹여낼 용광로 역할을 해야 하는 이유다. 새 정부가 출범하고 경기도정에 거는 기대 또한 어느 때보다 높다. '함께 가면 멀리 간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도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경기도의 발전, 나아가 대한민국 발전을 견인하려는 김 지사의 노력에 도의회 여야 정치권도 더 적극 화답할 필요가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