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유망시험서비스 개발' 사업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으로 위축된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재도약 기반을 마련하고 AI, 로봇 등 유망 신산업의 성장 동력을 확충하기 위해 시행된다. △친환경차 전장품의 안전확보를 위한 전자파 잔향실 평가법 시험 △전기자동차 무선충전 전자기적합성(EMC) 시험 △물리적 AI 적용 물류 로봇의 안정성 분야 글로벌 시험 등 7개 과제를 지원한다.
국표원은 22일부터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 지원 과제를 공고 후 다음 달 23일까지 온라인 사업 신청을 받고 7월 중 주관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전응길 적합성정책국장은 "유망 신산업의 시험인증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마련함으로써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시간, 비용적 애로 해소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올해에는 물리적 AI(Physical AI), 드론, 전기자동차 무선충전 등 미래 전략 산업에 대한 시험서비스 개발을 통해 관련 산업 성장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