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텍스 2025] 젠슨 황 "美 수출 통제 실패…수십억 달러 손해 봤다"(종합)

  • "중국 시장 점유율 95→50% '뚝'"

  • "中 기술 개발 동기와 정부 지원 계기"

  • "화웨이 급성장…미국 정책 바뀌어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글로벌 미디어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 참석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글로벌 미디어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 참석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의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고 밝혔다.

황 CEO는 21일 오전 9시(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진행된 글로벌 미디어 간담회에서 "수출 규제로 H20 제품이 중국에 금지되면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손실액은 많은 반도체 회사의 매출과 맞먹는 규모"라며 "그만큼 중국 시장에서의 손해도 컸다"고 덧붙였다.

H20은 엔비디아가 중국에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인공지능(AI) 칩이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H20 수출도 제한했다.

황 CEO는 엔비디아가 H20 칩의 낮은 버전을 중국에 출시할 것이라는 일각의 추측도 일축했다. 그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Hopper) 아키텍처는 더 이상 추가로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며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황 CEO는 "4년 전 바이든 행정부 초기에는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95%였지만 현재 50%로 줄었다"며 "나머지는 중국이 차지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출 통제는 중국 현지 기업들의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정부도 이를 지원하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황 CEO는 "전 세계 AI 연구자의 50%가 중국에 있으며, 딥시크도 엔비디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며 "중국의 내년 AI 시장은 약 500억 달러로 추정되는 만큼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엄청난 기회"라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중국에서 회사 전체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약 17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그는 또 "(중국 시장을 통해) 미국은 세수도 늘리고 일자리도 만들고 산업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황 CEO는 중국 화웨이도 언급하며 "그들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기술 기업으로, 빠르게 혁신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AI의 장점은 데이터센터가 매우 크다는 점"이라며 "그래서 H20 금지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어떤 이유든지 현장에서 실제 일어나는 일, 즉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자에게 영향을 줘 우리가 다시 중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이 바뀌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