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군, 저소득 중증장애인 교통비 지원 본격화 外

기장군 저소득 중증장애인 대상 교통비 지원사업 안내문사진기장군
기장군 저소득 중증장애인 대상 교통비 지원사업 안내문[사진=기장군]

기장군은 저소득 중증장애인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지역사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달부터 ‘저소득 중증장애인 교통비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교통 인프라가 열악한 농어촌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 중증장애인의 실질적인 이동권 보장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군은 지난해 말 ‘기장군 저소득 중증장애인 교통비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올해 예산을 확보해 지난 12일부터 사업을 시작했다.

지원 대상은 기장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중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다. 

대상자에게는 분기별로 1인당 3만원씩 교통비가 지급되며, 신청일이 속한 분기의 다음 달 10일에 지급된다. 신청은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하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기장군은 교통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해 장애인들의 외부 활동에 큰 제약이 따른다”며 “이번 교통비 지원사업이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는 물론 삶의 질 향상과 사회참여 기회 확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장군 좌광천 지방정원, 장미의 향연 펼쳐진다
좌광천 지방정원의 중심인 윗골공원과 구목정공원에서 장미가 개화하고 있다사진기장군
좌광천 지방정원의 중심인 윗골공원과 구목정공원에서 장미가 개화하고 있다[사진=기장군]

기장군 좌광천 지방정원이 5월을 맞아 화려한 장미 향연으로 물들었다. 

군은 정원의 중심부인 윗골공원과 구목정공원 일대에 형형색색의 장미꽃이 만개해 방문객들의 발길을 끌고 있다고 밝혔다.

좌광천 지방정원은 올해 5월 중순부터 10월까지 장미꽃이 절정을 이루며 장기간 화려한 자태를 뽐낼 예정이다. 

윗골공원에는 세계 여러 국가의 장미 77종, 약 3만 주가 조성돼 있고, 구목정공원에는 169종 약 1만5천 주의 장미가 산책로를 따라 장관을 이루고 있다.

특히 윗골공원은 대형 보름달과 초승달, 토끼 포토존 등이 마련된 빛거리 야간 조명 시설을 통해 밤에도 특별한 추억을 남길 수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의 인생샷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정종복 군수는 “좌광천 지방정원의 윗골공원과 구목정공원에서 기장의 봄과 초여름을 만끽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계절 내내 꽃이 피는 도심 속 힐링 공간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좌광천 지방정원은 부산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자체 추진해 등록한 ‘도시 생활밀착형 지방정원’으로, 총면적 12.2ha에 101종 51만 본의 식물자원이 배치돼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여가 체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기장군, ‘천 권의 그림책’ 첫 완주자 탄생...9개월 만에 1000권 돌파
내리새라도서관 천 권의 그림책 첫번째 달성 주인공인 김미서 어린이사진기장군
내리새라도서관 천 권의 그림책 첫번째 달성 주인공인 김미서 어린이[사진=기장군]

기장군 내리새라도서관에서 진행 중인 어린이 독서프로젝트 ‘천 권의 그림책’에서 첫 번째 완주자가 탄생했다. 

군은 15일, 이번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달성자는 내리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김미서 어린이라고 밝혔다.

‘천 권의 그림책’은 기장군에 거주하는 5세부터 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독서 프로그램으로, 그림책 1000권을 완독하고 스탬프북을 모두 채우면 인증서와 메달을 수여한다.

김미서 어린이는 지난해 8월부터 독서 프로젝트에 참여해 9개월 만에 1000권의 그림책을 모두 읽었다. 

김 어린이는 “엄마와 함께 도서관에 다니면서 책 읽는 재미에 푹 빠져 즐겁게 읽다 보니 어느새 천 권을 읽게 됐다”며 “첫 번째 완주자가 되어 정말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군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가 어린이들에게 독서의 즐거움과 성취감을 느끼게 하는 좋은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아이들이 지속적으로 독서에 흥미를 느끼고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천 권의 그림책’ 프로젝트는 정관도서관, 정관어린이도서관, 내리새라도서관 등에서 운영 중이며, 자세한 내용은 각 도서관에 문의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