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도 되는 택배 왜 안돼"…SKT 유심 교체 지연 계속

SK텔레콤이 유심 고객정보 해킹 사고로 관련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에 나선 지난 28일 서울 시내 한 SKT T월드 매장 앞에 유심을 교체하려는 고객들이 영업 전부터 줄을 서 있다사진연합뉴스
SK텔레콤이 유심 고객정보 해킹 사고로 관련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에 나선 지난 28일 서울 시내 한 SKT T월드 매장 앞에 유심을 교체하려는 고객들이 영업 전부터 줄을 서 있다.[사진=연합뉴스]

SK텔레콤이 유심(USIM) 해킹 이후 신규 고객 가입을 전면 중단하고 유심 교체에만 집중하겠다고 밝힌 후에도 소비자들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SKT는 5일 일일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유심 교체 완료 고객은 100만명, 교체 예약 신청자는 770만명"이라며 "전국 매장에서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유심 교체 물량이 20만 개 안팎인 만큼 오늘부터 신규 고객 가입을 중단하고, 유심 교체 등 피해 회복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SKT는 연휴 이후 공항 수요가 해소된 이후에는 일반 대리점에 유심 물량을 공급하고, 이달 말까지 500만 개의 유심을 추가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같은 조치가 적용된 첫날 온라인상에서는 유심 교체가 여전히 지연되고 있다는 게시물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한 엑스(X·옛 트위터) 이용자는 "유심 교체 예약 사이트가 오픈하자마자 한 시간도 안 돼 바로 예약했는데 아직도 교체하러 오라는 연락을 못 받았다"는 게시글을 올렸다.

이를 본 알뜰폰 이용자는 "유심 무료 교체를 신청한 지 딱 일주일만에 새 유심을 택배로 받았는데, SKT 서비스가 알뜰폰보다 못하다"며 택배 유심 교체가 불가능한 상황을 꼬집었다.

네이버에 개설된 'SK텔레콤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카페'는 이날 정오까지 1000여명이 넘는 가입 인사 게시물이 올라왔다. 전체 회원수는 7만4000명이다.

약정 기간 위약금 때문에 번호이동을 할 수가 없다는 불만도 나왔다. 한 디시인사이드 이용자는 "사태 이후 신규 악성코드가 발견됐다는 소식까지 들려 불안하다"며 "위약금만 없었어도 다른 통신사로 미련 없이 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SKT 측 귀책으로 해킹이 발생한 경우 위약금 없이 고객의 해지 요청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취지의 법률 해석이 나오고 있다.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국회 입법조사처는 해킹 사태 관련 질의에 "SKT의 귀책 사유로 해킹이 발생해 고객이 해지를 요구할 경우 약관을 근거로 위약금을 면제할 수 있다"는 취지의 해석을 내놨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이달 8일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을 다루는 청문회를 별도로 개최하기로 하고,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