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한 지 6개월이 지났다. 네이버는 하루 평균 멤버십 가입자 수가 기존 대비 1.5배 증가했다. 넷플릭스는 3040세대 남성 이용자 수가 늘어났다. 양쪽 모두 시너지 효과를 단단히 챙겼다.
네이버와 넷플릭스는 지난 28일 서울 중구 네이버스퀘어 종로에서 '네이버 넷플릭스 밋업' 세션을 열고 6개월 협업 성과와 의미를 돌아보는 자리를 가졌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이용자는 지난해 11월부터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월 구독료는 4900원,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는 월 5500원이다. 더 저렴한 가격에 네이버플러스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넷플릭스와의 제휴 이후, 일 평균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의 신규 가입자 수는 기존 대비 약 1.5배 증가했다. 또 넷플릭스를 선택한 신규 가입자는 가입 전보다 쇼핑 지출이 30% 이상 증가했고, 특히 디지털 활용도와 구매력이 높은 30대와 40대가 신규 가입자 가운데 6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한나 네이버 멤버십 리더는 "포인트 적립 중립으로 한 탄탄한 생태계 덕분에 커머스와 콘텐츠 부분에서 유저 참여가 굉장히 높은 편"이라면서 "디지털 활용도과 구매력이 높은 연령대가 신규로 유입되면서, 커머스 사업 확장 등 실질적 성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넷플릭스의 경우 연령·성별·지역 면에서 이용자층이 다양해졌다. 기존에 20대 여성에 집중됐다면, 제휴 이후에 30~40대 남성 이용자와 수도권 이외에 다양한 지역에서 넷플릭스를 접하게 됐다는 것이다.
최윤정 넷플릭스 디렉터는 "신규 유입된 이용자들은 최근 공개된 작품 외에 지난 명작이나 색다른 장르를 선호하는 등 다양한 시청 패턴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해 10월 네이버와 넷플릭스가 전개한 '오징어게임 시즌2' 마케팅을 소개하며 양사의 시너지를 잘 드러낸 성과라고 강조했다. 또 네이버는 통합검색, 지도 등 다양한 서비스에 넷플릭스의 콘텐츠를 결합해 많은 이용자들에게 ‘네넷’의 협업을 알리는 광고를 진행했다.
앞으로도 양사는 제휴를 강화해 다양한 공동 마케팅을 이어갈 계획이다.
최 디렉터는 "다른 회사와의 협업은 넷플릭스에겐 이례적인 일"이라며 "네이버는 대한민국 국민의 전 연령과 지역을 폭넓게 아우르는 대표 플랫폼이고, 그러한 플랫폼과 직접 제휴한다는 것은 넷플리스 글로벌에서도 중요한 성과"라고 밝혔다.
정 리더는 "네이버는 항상 멤버십의 사용성을 어떻게 더 올릴 수 있을지, 이용자 혜택과 만족도를 얼마나 더 확장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으며 넷플릭스와는 이러한 고민 지점에 대한 결이 잘 맞았다"면서 "최근 펫바우처 혜택 강화를 시작으로 네이버 멤버십의 사용성과 혜택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연내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