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한·일 정부 간 협의체 모두 복원…관계 개선 성과 쌓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해훈 기자
입력 2024-05-26 18:04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만나 한·일 관계 개선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양국 국교 정상화 60주년인 내년에 이를 더 발전시켜 나가자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양자 회담을 연 것은 지난해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회담 모두발언에서 윤 대통령은 "작년 3월 12년 만에 셔틀외교가 재개된 이후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총리님과 제가 각각 두 번씩 양국을 오가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특히 4년 5개월 만에 개최되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총리님과 서울에서 다시 뵙게 돼 더 반갑다"고 환영의 뜻을 전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용산 대통령실서 한·일 회담 개최…6개월 만

  • "올해 한·일 인적 교류, 역대 최고 수준 예상"

  • 기시다 "글로벌 과제 대처 위해 공조 긴밀화"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만나 한·일 관계 개선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양국 국교 정상화 60주년인 내년에 이를 더 발전시켜 나가자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4시 30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시다 총리와 양자 회담을 개최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양자 회담을 연 것은 지난해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회담 모두발언에서 윤 대통령은 "작년 3월 12년 만에 셔틀외교가 재개된 이후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총리님과 제가 각각 두 번씩 양국을 오가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특히 4년 5개월 만에 개최되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총리님과 서울에서 다시 뵙게 돼 더 반갑다"고 환영의 뜻을 전했다.

아울러 "우리 두 사람의 견고한 신뢰를 기반으로 지난 한 해 동안 각계 각급에서 교류가 크게 증진됐다"며 "작년 3월 도쿄, 그리고 작년 7월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두 사람이 합의한 대로 정부 간 협의체가 모두 복원됐다. 올해도 재무·산업·첨단기술 분야에서 고위급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올해 1분기에 이미 300만명이 양국을 오갔다"며 "올해 인적 교류가 역대 최고 수준인 2018년 1051만명을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윤 대통령은 "이처럼 한·일 관계 개선의 성과가 착실히 쌓이고 있는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인 내년에는 한·일 관계를 한층 도약시키는 역사적인 전기가 마련될 수 있도록 총리님과 제가 합심해서 준비해 나갔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기시다 총리는 "1년 전 일본의 총리대신으로서 12년 만에 한국을 방문했다. 신록의 서울을 다시 방문할 수 있게 돼 아주 기쁘게 생각한다"며 "작년 3월 처음으로 대통령님과 회담을 가졌다. 그 이후에 제가 세어봤는데, 오늘 회담이 10번째 대면 회담"이라고 화답했다. 

이어 "그 이외에도 대화, 통화 등 계속 긴밀히 대통령님과 소통하고 있는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며 "그러한 정상 간 신뢰의 관계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셔틀외교를 지속해 나가자"고 언급했다. 

기시다 총리는 "말씀하셨듯이 내년에는 일·한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한다"며 "양국 관계를 더 도약시키기 위해 윤 대통령님과 제가 각각 정부 내에 지시를 내려서 준비를 추진할 수 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역사의 전환점에 있는 가운데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유지·강화하며 글로벌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도 일·한 양국 공조를 한층 더 긴밀화할 수 있으면 한다"면서 "오늘은 이러한 점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고 싶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이 자리에서 양국 간 실질 협력 증진 방안, 한반도 정세, 한·미·일 협력과 인·태 지역을 포함한 역내, 글로벌 협력 방안에 대해 회담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 같은 자리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도 양자 회담을 진행했다. 이들 정상의 양자 회담은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일정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리창 총리는 지난해 3월 취임 이후 처음으로 방한했다. 

이들 정상은 양국 간 전략적 소통 증진, 경제통상 협력 확대, 중국 내 우호적 투자 환경 조성, 인적 문화 교류 촉진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한반도 정세를 포함한 지역과 글로벌 현안에 대한 협력도 논의 대상에 담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