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구글·MS 등 '서울 AI 기업 서약'…"안전한 AI 위해 협력하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선훈 기자
입력 2024-05-22 11:22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국내외 주요 인공지능(AI) 기업들이 안전한 AI 사용을 위한 '서울 AI 기업 서약'을 22일 발표했다.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앤스로픽, IBM, 세일즈포스, 코히어, 어도비 등 글로벌 AI 기업과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LG AI연구원,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 등 총 14곳은 이날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에서 해당 서약에 서명했다.

    이와 관련해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워터마크로 식별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고 국제 표준 개발을 위한 협력을 강화할 것을 약속한다"며 "AI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혁신을 위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투자하고 중소기업·스타트업과 공동 프로젝트 등을 통해 협력하며, 인턴십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전문 인력을 육성할 것을 약속한다"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설정
사진윤선훈 기자
국내외 주요 인공지능(AI) 기업들이 안전한 AI 사용을 위한 '서울 AI 기업 서약'을 22일 발표했다. [사진=윤선훈 기자]
국내외 주요 인공지능(AI) 기업들이 안전한 AI 사용을 위한 '서울 AI 기업 서약'을 22일 발표했다.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앤스로픽, IBM, 세일즈포스, 코히어, 어도비 등 글로벌 AI 기업과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LG AI연구원,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 등 총 14곳은 이날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에서 해당 서약에 서명했다.

이와 관련해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워터마크로 식별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고 국제 표준 개발을 위한 협력을 강화할 것을 약속한다"며 "AI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혁신을 위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투자하고 중소기업·스타트업과 공동 프로젝트 등을 통해 협력하며, 인턴십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전문 인력을 육성할 것을 약속한다"고 강조했다. 

또 "공평한 혜택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적 취약 계층을 위한 AI 서비스를 출시하고,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AI 솔루션을 개발하며 다양성과 포용성을 장려할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축사에서 "안전, 혁신, 포용은 AI 서울 정상회담 글로벌 포럼의 우선 주제이며 서로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안전한 기능이 세계 시장에서 지속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도 개회사에서 "생성 AI는 정책 입안자들이 독자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도전에 직면했다"며 "집단적 지혜를 활용해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일관된 비전을 형성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기조연설에서는 AI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와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창업자인 마크 레이버트가 각각 발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