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7년만에 수출 200만대 돌파…코로나 이후 국내 생산 증가 영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정훈 기자
입력 2023-12-10 13:5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10월 수출, 전년 동기보다 17.5%↑

  • 코로나 후 국내 생산증가로 수출 늘어

현대자동차·기아가 올해 2016년 이후 7년 만에 합산 자동차 수출 20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이후 국내 생산량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수출 또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1∼10월 각각 94만5062대, 86만7136대를 수출했다. 현대차·기아 합산 수출 대수는 181만2198대로, 올해 들어 월평균 18만대 이상이 해외로 팔려나갔다.

이에 따라 올해 나머지 두 달 동안 정상적인 흐름을 이어간다면 220만대에 육박할 전망이다. 현대차·기아 수출이 200만대를 넘는 것은 2016년 200만5798대 이후 7년 만이다.

현대차·기아 연간 수출 대수는 2011년 228만3000여 대로 처음 200만대를 넘어섰고 2012년 234만4000여 대, 2013년 230만5000여 대, 2014년 242만2000여 대, 2015년 231만4000여 대를 기록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6년 연속 수출 200만대를 넘어선 것이다.

이후 현대차·기아가 해외 현지 공장 생산을 늘리면서 수출량은 200만대 아래로 떨어졌고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에는 156만대까지 떨어졌다. 올해 1~10월 현대차·기아 수출 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5% 증가한 것이며 최근 10년래 최고 증가율이다.

이 기간 현대차·기아 누적 수출액은 439억1500만 달러(현대차 242억6900만 달러·기아 196억4600만 달러)로 지난해 연간 수출액(415억6700만 달러)을 이미 넘어섰다. 올해 1∼10월 국내 자동차 업체 전체 수출액인 524억1800만 달러에서 현대차·기아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84%에 이른다.

이러한 수출 확대는 국내 생산 물량 증가와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효과로 풀이된다. 2016년 1만4000달러였던 자동차 1대당 평균 수출단가는 올해 2만4000달러로 7년 새 1만 달러(68%) 높아졌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된 소비가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폭발했고 그 결과 전기차와 고부가가치 차량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출시도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해외에서도 고부가가치 차량 수요가 이어지며 국내 공장 풀가동에 나섰다. 

앞서 현대차·기아는 지난 5일 제60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현대차가 300억 달러 '수출의 탑', 기아가 200억 달러 '수출의 탑'을 각각 수상했다. 양사는 1700여 개 기업 중 올해 수출액 1·2위를 차지했다. 현대차는 해당 기간(2022년 7월 1일~2023년 6월 30일) 310억 달러(약 40조7000억원)를 수출해 전년보다 29.6%, 기아는 235억 달러(약 30조8400억원)로 30.7% 각각 늘었다.

현대차·기아는 국내 전기차 생산 능력 확대에 나서고 있어 수출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는 지난달 울산공장 내에 연간 20만대 생산 규모인 전기차 전용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기아는 지난 4월 오토랜드 화성에 연간 15만대 규모인 고객 맞춤형 전기차 전용 공장을 착공했고 오토랜드 광명도 일부 라인을 전기차 라인으로 전환했다.
 
현대차·기아 양재사옥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차·기아 양재사옥 [사진=현대차그룹]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