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200만명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최대 7만9000명 규모의 취업유발 효과를 낼 것으로 추산된다. 중국인 관광객의 취업휴발 효과가 큰 만큼 지속적인 유치전략과 이와 연계한 일자리 창출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정부 관계기관합동으로 열린 제11차 일자리 TF 회의에서 발표한 '고용 현안 및 이슈'에 따르면 올 9월 우리나라를 방문한 중국 관광객은 26만4000명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의 48.8%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올해 약 200만명 규모의 중국 관광객이 우리나라를 방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200만명의 중국인 관광객 유입에 따른 취업유발 효과는 최소 6만6000명에서 최대 7만9000명으로 추산된다. 중국 관광객의 지출 규모와 주요 지출부문 등을 고려할 때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등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가 늘었다는 분석이다.
문광연은 내년에도 양호한 고용 흐름을 위해 중국 관광객 유치전략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관광객 확대가 국내 경기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연계될 수 있도록 추가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