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보] SK하이닉스, 상반기 6.3조원 적자…"생성형 AI 등 메모리 급증"

  • 영업손실률 67%서 39%로 줄어…하반기 '감산 효과' 뚜렷 전망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적자 폭이 줄면서 회복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6일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7조3059억원, 영업손실 2조882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순손실은 2조9879억원이다.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은 대폭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매출은 13조8110억원에서 47% 줄었다. 작년 2분기 영업이익은 4조1972억원이었다.
 
다만 전 분기 대비해서는 영업손실 폭이 줄었다. 지난 1분기 영업손실은 3조4023억원이었다. 영업손실률은 지난 1분기 67%에서 2분기 39%로 줄었다.
 
SK하이닉스 측은 “챗GPT를 중심으로 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이 확대하면서 AI 서버용 메모리 수요가 급증했다”며 “HBM3와 DDR5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늘어나 2분기 매출이 1분기보다 44% 커지고 영업손실은 15%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D램과 낸드 판매량이 유의미하게 늘었다. D램의 평균판매가격(ASP)은 전 분기 대비 상승하며 매출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PC, 스마트폰 시장이 약세를 이어가며 DDR4 등 일반 D램 가격은 하락세였으나, AI 서버에 들어가는 높은 가격의 고사양 제품 판매가 늘어 D램 전체 ASP가 높아졌다.
 
또 전사적인 비용 절감 노력을 지속한 가운데 재고평가손실이 감소하며 영업손실 폭을 줄일 수 있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 AI 메모리 수요 강세가 지속하고, 메모리 기업의 감산 효과가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향후 AI용 메모리인 HBM3, 고성능 D램인 DDR5, LPDDR5와 176단 낸드 기반 SSD를 중심으로 판매를 꾸준히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또 올해 10나노급 5세대(1b) D램과 238단 낸드의 초기 양산 수율 및 품질을 향상해 다가올 업턴(Upturn) 때 양산 비중을 확대한다. 다만 회사 측은 D램에 비해 낸드의 재고 감소 속도가 더디다고 보고, 낸드 제품의 감산 규모를 늘린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전사 투자를 전년 대비 50% 이상 축소한다는 기조에는 변함없지만, 그동안 경영 효율화를 통해 확보한 재원으로 향후 시장 성장을 주도할 고용량 DDR5와 HBM3의 생산능력을 확대하기 위한 투자는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1분기를 저점으로 이제 회복 국면에 접어드는 것으로 보인다"며 “당사는 고성능 제품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실적을 개선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SK하이닉스
[사진=SK하이닉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