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신히 4%대 물가, 한숨 돌렸지만…하반기 '지뢰밭' 여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예지 기자
입력 2023-03-06 15: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월 물가 4.8%↑…10개월 만에 4%대로

  • 전기·가스·수도, 2월 물가 상승 견인

  • 지뢰밭 여전...하반기 공공요금 인상 줄줄이 대기

  • "물가 안정 기조 안착되도록 계속 노력할 것"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개월 만에 4%대로 내려 앉았다. 에너지 가격이 꺾인 데다 공공요금 동결 등 물가 억제책이 동원된 결과다. 

문제는 하반기다. 억눌렀던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불가피하고,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과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등 변수로 글로벌 원자재값과 수입물가가 다시 요동칠 수 있다. 선(先) 물가안정, 후(後) 경기부양이라는 정부 방침이 제대로 실현될지 의구심이 크다. 
 
석유류·축산물 가격 하락에 물가 4%대 재진입 

6일 통계청의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8% 상승했다. 

물가 상승률이 4%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4월(4.8%) 이후 10개월 만이다. 지난해 3월 4.1%를 기록하며 10년 3개월 만에 4%를 돌파했고 7월 6.3%로 정점을 찍은 뒤 5%대로 내려와 올 1월까지 5% 이상의 고물가를 이어갔다.

2월 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둔화한 것은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고 각종 할인행사로 축산물 가격 역시 안정된 영향이 컸다. 석유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1% 하락해 2021년 2월(-6.3%) 이후 2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고, 축산물 가격도 2019년 9월(-0.7%) 이후 3년 5개월 만에 하락(-2.0%)했다. 

다만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상수도 요금이 인상되면서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4% 급등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기와 도시가스, 지역 난방비 가격 상승률은 각각 29.5%, 36.2%, 34.0%로 집계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상승률은 4.8%로 전월(5.0%)보다 소폭 둔화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 물가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생활물가지수는 5.5% 올랐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잠시 주춤하던 물가 둔화 흐름이 재개되는 모습"이라며 "부문별로 불안 요인이 남아있지만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향후 물가는 둔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라고 낙관했다.
 
하반기 요금인상 줄줄이 대기...美·中 변수도 불안 

추 부총리의 전망대로 당분간 물가 안정세가 지속될 공산이 크다. 정부가 상반기 중 공공요금 동결에 나선 데다, 물가 안정을 명분으로 식품·주류·통신업체들의 요금 인상도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은 하반기 들어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기업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고 있어 전기·가스요금 인상을 계속 미룰 순 없다. 기업들도 원·부자재와 물류비, 인건비 등 제조 비용 증가에 따른 부담을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미지수다. 하반기부터 공공요금을 시작으로 각종 가격이 줄줄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외부 충격도 예고된 상태다. 우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다시 커지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당국자들은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까지 언급하고 나섰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 추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본격화하면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들썩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역시 우리 물가에는 악재다. 끝이 보이지 않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도 언제든 국제 유가나 에너지 가격을 자극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 파이팅'과 경기 부양을 놓고 택일해야 하는 정부의 고심이 깊어지는 이유다. 당분간은 물가 안정에 집중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장보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지난해 4월(4.8%) 이후 처음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대에 진입하는 등 안정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식품·서비스 등 수요 품목의 가격 불안 요인이 아직 남아있는 만큼, 주요 품목 가격 동향 점검, 분야별 민생지원 방안 강구 등 물가 안정 기조가 안착되도록 계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재부 관계자도 "일단 정부는 물가를 우선하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현안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중장기 경제 정책의 균형을 찾아갈 계획"이라고 했다.

반면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중국 경제활동 재개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움직임도 보이는 등 (향후 물가는) 여러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추 부총리는 "공공요금은 상반기 동결 기조 하에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국민 부담이 최소화되도록 하겠다"며 "주요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해 관련 업계도 원가 절감 등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해 줄 것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2024_5대궁궐트레킹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