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 DB]
유안타증권은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2023년에 큰 폭의 외형 성장이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21만원으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7일 "최근 에코프로비엠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밸류에이션에 대해 시장의 고민이 생겨나고 있다"면서도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33% 이상임을 고려하면 여전히 매력도가 높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특히 매년 강해질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정책으로 인해 완성차 및 2차전지 기업들은 탈중국 공급망이 잘 갖추어진 기업과의 계약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미국 내 수주 계약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수주 계약이 발표되면 에코프로비엠의 추가 생산능력 확대로 이어져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연간 실적은 매출 8조4560억원과 영업이익 6113억원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58%, 60% 증가한 수치다. 전동공구 부문 수요 부진 지속과 환율 및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이 전망되지만 전기차 부문의 증설 물량이 연내 가동되며 외형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은 최근 주가 급등에도 여전히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고 생산능력 확대로 인한 외형성장, 미국 내 수주 모멘텀 등을 감안하면 투자매력도가 높다"며 "목표주가를 15만8000원에서 21만원으로 상향한다"고 덧붙였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7일 "최근 에코프로비엠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밸류에이션에 대해 시장의 고민이 생겨나고 있다"면서도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33% 이상임을 고려하면 여전히 매력도가 높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특히 매년 강해질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정책으로 인해 완성차 및 2차전지 기업들은 탈중국 공급망이 잘 갖추어진 기업과의 계약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미국 내 수주 계약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수주 계약이 발표되면 에코프로비엠의 추가 생산능력 확대로 이어져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연간 실적은 매출 8조4560억원과 영업이익 6113억원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58%, 60% 증가한 수치다. 전동공구 부문 수요 부진 지속과 환율 및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이 전망되지만 전기차 부문의 증설 물량이 연내 가동되며 외형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