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등 7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예고 밝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대웅 기자
입력 2021-11-07 14: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보물 3점, 명승 1·사적 1개소, 천연기념물1·국가등록문화재 1건 등

  • 건축 · 불교문화재 · 옛길 등 가치 발굴...내년에도 10건 추진 계획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 모습 [사진=강원도 제공]

강원도는 7일 문화재청이 올해 보물 3건 등 총 7건을 국가지정 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 강릉 칠사당 등 관아 건축 2개소와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불상등 3점을 보물로 평창과 정선에 걸쳐 있는 백운산 칠족령을 명승으로 각각 지정했다

또 삼척도호부 관아지를 사적으로, 정선 봉양리 뽕나무를 천연기념물로, 고성 구 고성기선점 반석을 국가등록문화재로 각각 지정 예고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은 조선시대 강원도 감영의 정당으로서 중앙에서 파견된 관찰사가 정무를 보던 공간으로 1667년 중건된 이후 현재까지 그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유일한 선화당이며 조선시대 고급 관아 건축의 전형으로 감영 정당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건축 사례이다.
 

강릉 칠사당 모습 [사진=강원도 제공]

또 ‘강릉 칠사당’은 강릉대도호부 관아 구역내에 있으며 조선시대 지방수령의 집무처로 사용되어 온 건물로 칠사당이라는 명칭은 조선시대 수령의 주요 업무가 칠사(七事)로 규정되었던데서 연유했으며 칠사는 농사, 호구, 교육, 병무, 세금, 재판, 풍속 등이다.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모습  [사진=강원도 제공]

또한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은 얼굴 모습, 신체 비례, 세부적인 표현에서 고려후기 ∼ 조선 초기의 조형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현존작이 많지 않은 이 시기 불상 연구에 크게 이바지할 작품으로 평가 되며 17세기 대표적 조각승 석준과 원오의 중수작품이라는 점에서 국보로 지정된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과도 관련성이 있다.
 

 '평창군오면지도'에 표기된 칠족령 [사진=강원도 제공]

이와 함께 명승으로 지정 예고된 ‘백운산 칠족령은 평창과 정선을 연결하는 대표적 고갯길로 1960년대까지만 해도 동강을 통해 소백산 일대 금강송을 서울로 운송하던 떼꾼들이 애용했다고 전해지며 길을 따라 천길 낭떠러지 뼝대와 물굽이가 만들어내는 동강의 빼어난 경관을 한눈에 조망 할 수 있다.

옛길은 단순히 시간과 공간의 의미만이 아닌 인간과 자연의 부단한 교감의 결과이자 나아가서는 길에서 오랜 시간 축척돼 온 문화, 역사, 전통 등을 모두 포함하는 정신적 가치를 담고 있어 선조들의 생활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정선 봉양리 뽕나무 모습 [사진=강원도 제공]

이번에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된 ‘정선 봉양리 뽕나무’는 정선군청 앞의 유서 깊은 살림집인 정선 상유재 고택 앞에 있으며 약 500년 전에 제주고씨가 중앙 관직을 사직하고 정선으로 낙향할 당시 고택을 짓고 함께 심은 뽕나무라 전해진다.

특히 봉양리 뽕나무는 기존 지정된 단목의 뽕나무와 달리 2그루가 나란히 자라 동서 18m, 남북 15.8m로서 규모면에서도 사례가 드물고 생육상태가 좋아 수형이 아름답다.

김맹기 도 문화유산과장은 “도는 2019년 도 문화유산과가 신설이후 작년 정암사 수마노탑의 국보승격 등 적극적으로 강원지역의 다양한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국가지정으로 승격 시키는데 문화재청 및 관련 시군과 협력해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에도 도지정 문화재 10여건도 지정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