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서 스페셜 칼럼] 중국증시 외국인 대탈출? "카더라 심리학'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병서 경희대 객원교수
입력 2021-09-15 20: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전병서/경희대 China MBA 객원교수]

 

 

외국인은 중국증시를 떠난 것일까?

시진핑 중국 주석이 2020년부터 강조한 공동부유론(共同富裕論)이 지금 중국 투자를 하는 투자가들 사이에 가장 큰 이슈다. 중국정부가 공동부유론의 장애가 된다고 보고 연초부터 알리바바에 대한 반독점법 규제를 시작으로, 7월에는 미국에 상장한 지 3일된 디디추싱까지 네트워크보안법 위반으로 제재했다.

디디추싱 제재 이후에도 인터넷교육 회사들에 대한 제재가 이어지자 "사회주의 국가 중국은 못 믿을 나라다. 그래서 중국 주식투자를 접어야 한다"는 말이 온 언론을 도배했다. 그러나 여기서 그치지 않고 중국정부가 오락 엔터산업 그리고 유명 연예인까지 단속하자, 홍콩에 투자했다가 혼이 난 헤지펀드의 대부 격인 소로스 같은 투자가는 "중국 투자는 위험하다"고 주장하고 나섰고 중국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고까지 얘기했다.

중국의 플랫폼기업에 주로 투자한 일본의 손정의, 아크펀드의 캐시우드 같은 큰손들도 큰 손해를 보고 중국 투자에 대한 불안감을 표시했다. 그래서 미국언론은 중국 주식투자 철수를 얘기하고 그것이 주류인 것처럼 보도해 중국에 투자한 개미들의 중국증시에 대한 공포를 키웠다.
플랫폼기업 주가 폭락을 경험한 서방 투자가들은 중국의 공동부유론이 아니라 '공동빈궁론(共同貧窮論)'이라고 비웃기도 하고, 민영기업 죽이기는 중국의 자살골로 이어져 중국경제를 위기로 몰고 갈 것이라는 전망도 넘쳐났다.

정말 외국인은 중국증시를 떠난 것일까? 주목할 것은 서방세계 외국인의 말과 행동은 정반대였다는 것이다. 금년 2월 이후 외국인의 중국자본시장 자금 유입은 단 한달도 줄어든 적이 없이 계속 늘었다.
외국인들이 플랫폼기업 제재로 중국주식을 팔고 나간 게 아니라 매수를 더 늘렸다. 월간 자금유입액을 보면 7월을 저점으로 계속 늘어나고 있고, 9월에는 지난 10일까지 유입액이 8월 한달 전체 유입액보다 더 많다.

플랫폼은 주가 하락, 반도체·배터리 등 정부육성 산업은 급등

중국증시는 외국인들이 주식을 팔고 나간 게 아니라 7월을 저점으로 더 사고 있고, 주가가 폭망한 게 아니라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는 것이 팩트다. 미국 상장 중국 인터넷기업의 주가하락을 중국본토와 같다고 동일시하면 안 된다.

중국의 인터넷기업은 본토에 상장된 기업이 없다. 중국 인터넷기업은 차등의결권제도를 도입하고 있는데, 중국은 차등의결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애초부터 중국 본토증시 상장조건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본토에 상장된 기업이 없다. 이번 주가 폭락은 미국과 홍콩에 상장된 중국 인터넷기업의 폭락이지 중국 본토기업의 폭락이 아니다. 중국의 규제는, 정확히 말하면 중국 플랫폼기업에 대한 제재이지 전체 민영기업 죽이기가 아니라는 점이다. 플랫폼기업 제재는 중국의 독과점규제, 법치국가 건설, 더 크게는 공동부유론과 상관이 있다.

중국에서 국유기업보다 더 시장점유율 높고, 마진이 높은 사업을 하는 곳이 인터넷 플랫폼기업이다 보니 독과점규제에 1순위로 걸릴 수밖에 없었다. 중국의 공동부유론의 세 가지 해법은 1)고부가가치 창출하는 첨단기업 육성 2)조세와 보조금 조정 및 민생의 생활비용 절감으로 인한 가처분소득 향상 3)먼저 부자가 된 이들의 사회기부인데, 중국의 플랫폼기업들은 이 중 2)번, 3)번에 걸린 것이다.

특히 한국 투자가들은 중국어 문제로 중국 본토주식보다는 미국에 상장된 중국주식, 더 정확히는 인터넷기업에 주로 투자하다 보니 미국 인터넷 투자가들의 중국에 대한 견해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어 중국증시에 대한 공포와 불안감이 더 커졌던 것이다. 

중국시장은 정확히 모니터링하고 변화를 제대로 체크하지 않으면 정말 리스크가 크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고(高) 리스크는 고수익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2021년 들어 중국정부의 규제를 받는 플랫폼기업이 아닌, 중국정부가 육성하는 반도체·배터리 기업들의 주가는 연초 대비 배 이상 상승했다. 그래서 중국투자는 미국언론과 투자가들이 언론에 떠드는 얘기나 이를 그대로 베낀 한국의 SNS에 떠도는 정보를 믿고 투자하면 리스크가 크다. 중국정부의 정책을 정확히 파악하고 규제업종은 피하고 수혜업종으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 중국증시에 자금이 몰리는 이유

중국증시가 규제 리스크에 투자심리가 흔들린 것은 맞지만 그것도 잠시, 주가는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고 7월 이후 일 거래대금이 38일간 연속 1조 위안(약 180조원)을 넘어서고 있으며 주가는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중국증시로의 자금 유입 이유는 첫째, 정부 규제는 플랫폼기업에 대한 규제이지 제조업에 대한 규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중국은 공동부유론의 실현을 위해 지금 같은 저임금산업으로는 중산층 형성이 요원하다고 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첨단기술산업을 육성하는 데 올인하고 있다. 첨단기술산업에 대한 자금지원, 세제지원, 정책지원을 쏟아붓고 있다. 그래서 중국의 기술주로 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과 반도체전쟁을 하고 있지만 중국의 반도체업종 주가가 속등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의 파격적인 정책지원을 업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28나노급 반도체 기술을 가진 기업에 대해 10년간 법인세를 면제해주는 조치를 취했고 반도체 장비, 재료 등의 수입관세도 면제해 주었다. 인력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의 1위 대학인 칭화대학부터 반도체대학을 설립해 인재 공급에 숨통을 틔워주고 있다. 

둘째, 부동산 규제로 부동산자금이 증시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인구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동부유론의 실현과정에 중요한 인구증가에 장애가 되는 두 가지로 사교육과 부동산을 꼽았는데, 부동산을 강하게 규제하자 갈 데가 없어진 유동성이 증시로 방향을 튼 것이다.

셋째, 중국정부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3월 이후 탄소 배출이 많은 석탄과 철강산업의 생산을 규제하자 생산 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들 업종으로 유동성이 몰려들었다.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8월 생산자물가(PPI)는 작년 동월보다 9.5% 상승했고, 이는 2008년 8월 이후 13년 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중국증시의 외국인 대탈출설은 근거 없는 '카더라' 정보일 뿐이다. 중국정부의 공동부유론에 과도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어 보인다. 중국투자는 공동부유론에 따른 규제산업이 아니라 육성산업에 관심을 갖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전병서 필자 주요 이력

△푸단대 경영학 박사 △대우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경희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