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 전후 사태 수습 돌입...미·중·러 연쇄 통화, 탈레반 평화협상 속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현 기자
입력 2021-08-17 10: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지난 15일(현지시간) 무장조직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재점령한 가운데, 아프간 국내외적으로 전후 사태 수습에 돌입했다.

16일 로이터 등 외신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잇달아 양자 통화를 하고 아프간 문제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국무부는 블링컨 장관이 왕 부장과 라브로프 장관과 각각 아프간의 안보 상황과 미·중·러 국민의 안전한 본국 귀국 등의 문제를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후 블링컨 장관은 아프간 접경국인 인도와 파키스탄의 외교장관(각각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마크둠 샤 마흐무드 쿠레시 외교장관)과도 양자 통화를 진행했다. 이들 두 국가는 탈레반 집권에 따라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이 자국으로 유입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사진=AP·연합뉴스] 

중·러, 탈레반 정권 승인 눈치...'지원금 삭감 경고' 유럽은 강력 반발
한편, 이미 아프간의 정권 교체 상황을 준비해오고 있던 러시아와 중국은 이에 대한 정치적 조율을 거치며 탈레반 정권을 승인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탈레반의 수도 카불 함락 후 아프간의 선택을 존중한다"면서 "중국이 아프간 문제에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혀 향후 탈레반 정부를 승인할 수 있다는 해석을 낳았다.

같은 날 드미트리 지르노프 아프가니스탄 주재 러시아 대사는 러시아 '에코 모스크비' 라디오와의 대담에서 "탈레반의 통제로 카불의 상황이 이전 아슈라프 가니 정권 당시보다 더욱 안전해졌다"면서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접근이었으며 탈레반의 행동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지르노프 대사는 이어 "현재 카불 시내는 평화롭고 모든 게 진정됐으며 등교도 재개했고, 여학생들도 학교에 다시 나가고 있다"면서 오는 17일 중 탈레반과 러시아 대사관의 보안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도 덧붙였다.

러시아는 이미 탈레반과의 협정으로 러시아 소속 외교관과 대사관의 안전을 보장받은 상태이며, 전날 사태 중에도 주아프간 러시아 대사관에 근무 중인 100여명의 직원 역시 철수하지 않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아프간 특사인 자미르 카불로프도 이날 같은 라디오 대담에서 "지난 7년간 탈레반과 접촉해온 것은 헛된 일이 아니다"라면서 "탈레반과 관계를 구축하려는 러시아의 오랜 노력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불로프 특사는 "우리는 탈레반이 완전히 아프간 전역을 장악하지 못하더라도 아프간의 미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리란 걸 알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실제, 이날 러시아 외무부는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에게 아프간의 질서와 치안 유지를 위해 그곳의 정치 세력과 접촉하고 있음을 알렸다"면서 "양측 외교 수장은 중국, 파키스탄, 유엔(UN·국제연합), 기타 관련국과 협의를 이어가며 새로운 조건에서 아프간 문제와 관련한 대화의 토대를 마련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아프간 내부에서도 전·현임 권력 집단이 평화협상을 이어간다.

하미드 카르자이 전 아프가니스탄 대통령과 압둘라 압둘라 국가화해최고위원회 의장이 탈레반 지도부와 17일 카타르 도하에서 대면하고 평화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카르자이 전 대통령 측은 이번 협상의 목표를 카불의 안정을 유지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아프간의 평화와 안보를 성취하는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다만, 이와 관련해 지르노프 러시아대사는 이미 탈레반 측이 전임 정권의 군병력인 아프간 보안군에 대한 사면을 보장한다는 점을 들어 "마녀사냥도, 숙청도 없다"면서 탈레반이 현지에서 평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암시했다.

앞서 아프간 전쟁에 참전했던 유럽 각국도 사태 추이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아프간 사태를 논의하기 위해 주요 7개국(G7)의 긴급 정상회의 소집을 요구하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는 자국민과 아프간인 협력자 350명의 아프간 탈출을 위해 총 900명의 병력을 파병하겠다고도 덧붙였다.

독일과 유럽연합(EU)은 아프간을 탈출한 난민 유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를 논의하기 위해 오는 18일 독일 정부의 각료회의를 진행한 후, EU 내무장관회의와 외무장관회의도 잇달아 개최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특히, 유럽 국가들은 탈레반의 무력 점령을 비판하면서 향후 자국이 제공하는 공적개발원조(ODA) 등의 지원금을 삭감하겠다고 엄포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의 피난민 모습. [사진=UPI·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2024_5대궁궐트레킹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