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오전 광주 북구 선별진료소가 수도권 방문자 등 검사 대기자로 북적거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1000명 이상 쏟아지면서 병상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수도권 20~30대를 중심으로 경증·무증상 확진자가 크게 늘면서 이들이 입소해 격리 생활을 하는 서울·경기·인천 지역 생활치료센터에는 이미 정원의 75%가 넘는 사람이 입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 수도권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75.8%다. 서울·경기·인천에는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생활치료센터가 총 33곳 있는데 이곳 정원은 총 6784명이다.
수도권 센터 33곳에는 전날까지 이미 5139명(75.8%)이 입소해 있고, 현재 1645명(24.2%)이 더 입소할 수 있다.
직전일인 10일 기준으로는 수도권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이 75.1%(정원 6746명 중 5068명 입소)였는데, 하루 만에 0.7%포인트 상승했다.
전국 상황으로 보면 전날 기준으로 생활치료센터는 총 41곳 마련됐으며 가동률은 73.3%(정원 8037명 중 5889명 입소)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병상 부족 우려에 대해 "센터를 계속 늘리는 중이고 현재까지는 문제가 없다"며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지난 3차 유행을 겪으면서 필요하면 신속히 전환할 수 있게 임시 생활치료센터를 두고 있어서 수도권 상황에 맞춰 빠르게 확충하는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수준에서 환자가 더 증가하는 쪽으로 얼마나 오랜 기간 유지되느냐에 따라 센터 여력은 조금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 코로나19 위중증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은 전날 기준으로 전국 806개 중 583개가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중증환자 중 인공호흡기 이상의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환자를 위한 '준-중환자 치료병상'은 전국 412개 중 198개가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전국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은 전국에 7550개가 있고 이 중 3752개를 사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병상 부족으로 1일 이상 병상 배정을 기다려야 하는 환자는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