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퍼스트 코리아!] 뒤늦게 디지털 원화 개발나선 韓…올해 전담팀 꾸리고 연구 착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영훈 기자
입력 2020-06-15 07: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비대면 수요 커지자 회의적 입장 선회

  • 한은, 검토 마치고 내년 테스트 계획

[그래픽=아주경제 미술팀]
 

한국도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CBDC)’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한국은행이 올 들어 CBDC 전담 연구팀을 신설한 것은 물론, 관련 연구 과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역시 여러 공식석상에서 CBDC 연구의 중요성을 지속 강조하고 있다. 한국은 불과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디지털화폐’ 도입에 가장 회의적인 국가 중 한곳이었다. 이처럼 올 들어 기조를 급선회한 데는 ‘코로나19’로 글로벌 주요국의 통화정책에 미묘한 변화가 감지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한은, CBDC 경쟁력 확보 속도

이주열 총재는 지난 12일 발표한 창립 70주년 기념사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CBDC 관련 연구·개발을 계획대로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제시한 ‘CBDC 도입 검토’에 대한 지속 추진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다.

한은의 CBDC 관련 움직임은 올해부터 본격화됐다. 지난 2월 CBDC 전담 연구팀과 기술반을 신설하고, 기술 구현 검토 작업에 착수했다. 이후 당장 올해 안에 관련 검토 및 절차 분석을 마치고, 내년 중 가동 테스트를 진행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전체적인 일정 자체를 상당히 빠르게 가져가는 셈이다.

올 하반기에는 이를 적절히 뒷받침할 디지털혁신실도 신설한다. 향후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해 필요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진행할 CBDC 시범운영에는 최신 IT(정보통신) 기술도 적극 반영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기술보유 업체와의 폭넓은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했다.

다만, 국내에서 CBDC 도입이 현실화되려면 아직까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최근 한은이 진행 중인 일련의 작업들도 CBDC 도입 이후 가시화될 실효성 및 부작용 파악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외에 한은법 개정 등의 과제도 남아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최근 한은은 필요시 언제든 CBDC 도입 준비 작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관련 역량을 키워가는 모양새”라며 “다만, 실제 CBDC 도입까진 다양한 고려요인들이 상존하는 만큼, 굉장히 신중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은 CBDC '회의적→적극 준비‘ 입장 선회

한국은 불과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디지털화폐’ 도입에 가장 회의적인 국가 중 한곳이었다. 한은은 2018년부터 CBDC 연구를 목적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지만, 국내 도입에 대해서는 “관련 필요성이 많지 않고, 가까운 시일 내에 이뤄질 일은 없을 것”이라며 줄곧 선을 그어왔다.

한은이 입장을 선회한 데는 ‘코로나19’로 비접촉 지급수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점이 주효하게 작용했다. 이로 인해 디지털 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됐고, 이는 결과적으로 전 세계적 CBDC 관련 개발을 촉진했다는 분석이다.

이주열 총재 역시 “디지털 혁신이 민간부문을 넘어 중앙은행 고유의 지급결제 영역까지 파급될 수 있다는 인식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며 “중앙은행으로서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계 각국들의 동향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은이 최근 내놓은 ‘해외 CBDC 추진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노르웨이·동카리브·바하마·스웨덴·영국·중국이 소액결제용 CBDC를 연구 중이다. 스위스·싱가포르·일본·유럽중앙은행(ECB)·캐나다·태국·홍콩·프랑스의 경우 거액결제에 CBDC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은은 최근 비대면 문화 확산을 위한 ‘은행계좌 기반 모바일 현금카드 서비스’도 선보였다. CBDC로 넘어가기 전 중간단계 성격의 서비스다. 이를 활용하면 플라스틱 현금IC카드(현금카드) 없이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에서 현금을 찾을 수 있다. 신한, 우리, 하나, SC제일은행 등 총 14개 은행과 농협·수협중앙회가 순차적으로 참여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