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먹거리 '수소경제', 강릉 수소탱크 폭발에 '제동'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승길 기자
입력 2019-05-26 15: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정부, 불안감 확산 차단 총력…"수소차·수소충전소와 안전성·관리기준 달라"

  • '수소' 공통분모에 주민 불안 증폭…도심 수소충전소 설치 어쩌나

정부가 미래 먹거리로 선정, 중점 추진 중인 '수소경제 활성화'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3일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면서 도심 곳곳에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려던 계획이 지역 주민들 반발에 부딪힐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사고가 발생한 수소탱크와 수소차·수소충전소는 안전성과 관리기준이 다르다면서 불안감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수소'라는 단어 공통점 탓에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쉽게 사그라들지 않는 분위기다.

강원테크노파크 강릉벤처 1공장 옆 수소탱크 폭발사고 발생 다음날인 24일 오전 사고 현장이 전쟁터를 방불케 할 정도로 처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내놓은 설명자료를 통해 현재 국내 수소충전소는 국제적으로 안전성이 검증된 기준에 부합하는 국내 시설안전기준에 따라 설치·운영 중이라고 강조했다.

자료에는 일본 102곳, 미국 74곳, 독일 66곳 등 세계적으로 약 370곳 수소충전소가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폭발 등 사고는 없다는 내용도 담겼다.

산업부에 따르면 수소탱크 용기는 10바(bar) 압력을 기준으로 고압·저압으로 나뉘며, 사고가 난 탱크 설계압력은 12bar에 용량은 4만ℓ였다. 이에 비해 수소차 압력은 700bar, 용량은 52ℓ이고 수소충전소는 압력 990∼1000bar에 용량은 300ℓ로 압력은 훨씬 높지만 용량은 매우 적다.

즉 상업용 충전소에 적용되는 수소탱크는 국제적 기준으로 검증된, 이음매없는 금속용기나 복합재를 보강한 제품이 사용되기 때문에 과압이 걸려도 파열이 아닌 찢어지는 형태로 설계된다는 것이 산업부 설명이다.

이처럼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명에 나선 것은 수소 경제 활성화를 국가 중점 추진 과제로 내세운 만큼 이번 사고로 수소경제 안전성 논란이 불거지는 것을 조기에 불식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정부는 지난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지난해 2000대 수준인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2040년까지 620만대로 확대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담았다. 이를 위해 2040년까지 수소충전소를 1200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당시 정부는 "수소 저장용기는 탄소섬유로 제작, 에펠탑 무게인 약 7000t이 넘는 무게, 수중 7000m 정도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니도록 제작되고 있다"며 안전성을 무엇보다 강조했다.

이번과 같은 사고가 한번 발생하면 안전과 관련 불안은 증폭되기 마련이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핵심인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이 주민 반발에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압축천연가스(CNG) 탱크만 해도 충전 과정에서 사고가 나면 관련시설을 확산하기가 어렵다"며 "앞으로 수소충전소 확산 과정에서 이번 사고가 지역 주민들에게 부정적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무엇보다 과학적으로 어떤 원인에 의해서 이런 사고가 발생했는지 정확하게 밝혀져야 한다"며 "철두철미한 사고 원인 조사와 보완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강원도 강릉시 소재 강원테크노파크 수소탱크 폭발 사고현장을 찾아 사고대책 상황 등을 보고받고 있다.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