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1915년 당시 훼손된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 남동측면 모습. [사진=문화재청]
1910년 당시 훼손된 국보 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 서측면 모습 [ 사진=문화재청 제공]
2008년 7월 10일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석축 해체 작업이 열리고 있다. [ 사진=문화재청 제공]
2001년 10월 31일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6층 옥개석 해체 시연이 열리고 있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2015년 10월 6일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 보수작업 중 인부들이 1층부를 가조립하고 있다. [ 사진=문화재청 제공
익산 미륵사지 석탑 보수작업을 통해 3층부를 조립한 모습. [ 사진=문화재청 제공]
2017년 10월 1일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 보수작업 중 인부들이 6층부를 조립하고 있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30일 전북 익산시 미륵사지에서 열린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 보수정비 준공식에서 내빈들이 제막행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09년 1월 14일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 해체 작업 중 심주석(心柱石)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 모습. [ 사진=문화재청 제공]
2009년 1월 14일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 해체 작업 중 심주석(心柱石)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 모습.[ 사진=문화재청 제공]
사진 왼쪽은 1915년 훼손된 석탑 모습, 오른쪽은 지난 3월 보수 완료된 모습. [사진=문화재청]
20년에 걸친 해체·보수 작업을 마무리한 현존 최고(最古)·최대(最大) 석탑인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 동북측면 모습 [ 사진=문화재청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