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수의 藥속] 결핵 발생률 OECD 평균 7배, 완전 퇴치 학교부터 시작돼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정수 기자
입력 2018-12-26 04: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지난 8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한 담임교사가 결핵 판정을 받은 뒤 학생 16명이 잠복결핵 양성 판정을 받은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학교 측은 감염병 사건이 발생했음에도 일부 학부모에게만 사실을 알리는 등 철저한 사후조치와 관리에 소홀했다. 이 학교 교직원과 학생은 총 400여명을 넘었지만, 질병관리본부는 해당 반 학생 21명과 전체 교사 22명에 대해서만 역학조사를 진행했다.

결핵은 ‘후진국병’으로도 불리는 질환이지만, 경제·위생 발전을 이룬 국내에서 수십년간 해결되지 않은 난제다. 1980년대 80만명이었던 환자 수는 이후 급감해 2010년 17만까지 줄어들었지만, 그럼에도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국내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70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 중 1위를 유지하고 있다. OECD 평균 11.1명과 비교하면 7배다.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도 10만명당 10명 내외로 가장 높다.

보건당국은 2025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OECD 평균 수준인 10만명당 12명 이하로 낮춘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 집단시설 종사자 결핵·잠복결핵 검진을 의무화했다. 의료기관·학교·군부대·경찰·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 종사자는 매년 결핵, 근무기간 중 한 번 잠복결핵 감염검진을 받아야 한다.

이 중에서도 중요한 곳이 학교다. 학교는 첫 번째 사회화 공간으로, 대표적인 집단시설이다. 지역 내 감염에 요인으로도 꼽힌다. 더욱이 청소년은 학업 스트레스와 실내 중심 생활로 인해 면역력이 비교적 취약하다.

실제로 질병관리본부가 발간한 ‘집단시설 결핵역학조사 현황’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모든 학교(유치원~대학교)에서 발생한 결핵 환자는 총 4462명으로 집단시설 중 가장 많았다. 감염위험이 비교적 높은 의료기관의 경우 같은 기간 총 3480명이었다. 결핵역학조사를 통해 확인된 잠복결핵 감염자도 학교가 2만7561명으로 의료기관(1만1485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때문에 교직원과 종사자에 대한 결핵 감염 관리는 더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위 사례뿐 아니라 지난해 11월에도 고등학교 교사 2명이 폐결핵으로 신고된 후 9명 환자와 함께 117명 잠복결핵 감염자가 확인된 바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2005년부터 집단시설 종사자에 대한 잠복결핵감염 검사·치료를 적극적으로 펼쳐 결핵 퇴치에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됐지만 활동성이 없는 상태로 증상과 전염력이 전혀 없다. 다만 면역력 약화 시 활동성 결핵으로 바뀔 위험이 있다.

일각에서는 결핵 검진 의무화 불이행 시 규제할만한 수단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현행 ‘결핵예방법’에는 의무화 규정만 있을 뿐, 이에 관한 행정조치 내용은 없다. 해마다 결핵환자 수가 줄어드는 추세에 있지만 이를 ‘퇴치’까지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에서부터 고민이 시작돼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