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맞춤형 도시계획’으로 동(洞)까지 관리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오진주 기자
입력 2017-12-07 09: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제22차 도시계획위원회서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안’ 통과

  • “‘2030 서울플랜’이 상위 계획이라면 생활권계획안은 소지역 단위 세부계획”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안’ 개념도.[그래픽=임이슬기자 90606a@]


서울시가 시 전역을 동(洞) 단위로 나눠 발전방향을 수립하는 맞춤형 도시계획 구상을 완성했다.

서울시는 지난 6일 제22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7일 밝혔다.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이란 시 전체를 5개 권역과 116개 지역생활권으로 나눠 발전 구상과 공간관리 지침을 마련하는 ‘지역 맞춤형 도시계획’이다.

앞서 시는 2014년 서울시 도시계획의 기반이 되는 ‘2030 서울플랜’을 제시한 이후 지난 5월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을 발표했다. 이후 공청회와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등을 통해 의견 청취 절차를 진행했다.

5월 발표한 생활권 계획안에는 동네별 도시계획을 세우고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상업지역을 확대해 고른 성장을 유도하는 내용을 담았다. 116개의 지역생활권은 3~5개 동을 합한 인구 10만명 규모의 단위다.

즉, 2030 서울플랜이 서울시 도시계획의 최상위 체계로서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했다면,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은 동 단위에서 그 지역 주민들의 이슈를 중심으로 세밀한 부분까지 담아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4479명의 주민들이 참여하고 230여회의 워크숍과 220여회의 자치구 협의체를 구성해 생활권계획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상향식’ 도시계획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번에 통과된 계획안에는 2030 서울플랜에 담았던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지구중심’을 추가해 중심지 체계를 완성했다. 신규 지구중심의 80%가량은 동북·서북·서남권에 집중됐다.

특히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시켜 고른 발전을 유도하는 이번 생활권계획안에는 상업지역 134만㎡ 규모의 땅 가운데 상당 부분을 동북권(59만㎡)과 서남권(40만㎡), 서북권(18만㎡) 등에 고루 배치했다.

현재 서울 상업지역은 모두 2572만㎡로 서울 면적의 4.2%를 차지한다. 동북권 1인당 면적과 개발 밀도가 동남권의 36%와 60%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이로써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은 시를 ‘5개 권역(35개 핵심이유, 111개 목표, 263개 세부전략)’과 ‘116개 지역(116개 미래상, 492개 목표, 1128개 세부전략)’으로 나눠 지역별 과제를 담는 도시계획으로 완성됐다.

앞으로 시는 내년 2월께 생활권계획을 확정·공고해 시민들이 홈페이지 등을 통해 쉽게 생활권계획을 살펴볼 수 있게 할 예정이다.
 

'2030 생활권계획' 체계도.[이미지=서울시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