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미워도 다시 찾는 한국제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베이징 = 조용성 특파원
입력 2017-08-23 12: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라면.화장품 등 20개 부동의 1위

중국 수입시장 국가별 점유율 추이 [그래픽=코트라 제공]



라면, 혼합주스, 기초 화장품, 샴푸, 치약, 플라스틱 밀폐 용기, 바닥 깔개, 디지털 도어록, 믹서, 비데, 공기청정기, 엔진과급기(슈퍼차저), 경질유 조제품, 항공유와 윤활유, 에틸린, 파라-크실렌, 리튬이온 배터리, 메모리, 통신기기 부품, 액정패널.

이상은 코트라(KOTRA) 베이징 무역관이 한·중수교 25주년을 맞아 지난해 기준 중국 수입시장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제품이 중국 수입시장에서 1위를 차지한 20가지 품목이다. 중국의 사드 제재로 인해 중국 내 우리나라 제품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지만, 이들 제품은 대부분 올해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라면의 경우 지난해 한국의 대 중국 수출액은 2698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15.4%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중국의 한국 라면 수입액은 202.4% 늘었다. 같은 기간 중국의 라면 수입시장 성장률이 55.8%였던 점을 감안하면 월등한 증가세다. 베이징 무역관은 "한국의 중국 라면시장 점유율은 39.2%로 대만을 제치고 1위를 기록 중"이라며 "당분간 독주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혼합주스 부문에서는 한국이 점유율 53%로 압도적 1위를 달리고 있다. 최근 유기농이나 무첨가 천연 건강 음료에 대한 중국인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프리미엄 음료시장이 커진 덕분이다. 홍삼, 인삼, 알로에, 쌀음료 등 한국 제품의 차별화 경쟁력으로 프리미엄 음료시장을 공략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한류를 등에 업은 기초 화장품의 경우도 중국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28.7%로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중국 로컬 기업이 매섭게 추격하거나 수입 수요가 둔화하는 품목의 경우 우리 기업이 보다 빠르게 차별화 제품을 선보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예를 들어 석유화학 제품은 최근 중국의 대규모 투자와 자국 산업 육성에 따라 중국 기업 경쟁력이 높아지는 데 반해 한국은 대중 수출이 범용 제품에 머물고 있어 경쟁력 향상이 시급하며, 샴푸와 치약은 중국산 대비 프리미엄 이미지가 약해졌다는 것이다.

비데나 공기청정기는 고부가가치 기술력을 요구하지 않는 소형 가전 제품으로, 중국산 제품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어 시장 위축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는 시장 확대 여지는 충분하지만 중국 정부의 자국 기업 육성 정책 기조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우려했다.

베이징 무역관은 "현지 수요 트렌드에 맞춰 끊임없는 연구·개발(R&D)과 신제품 출시가 긴요하다"며 "가령 지금은 기초 화장품이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점차 중국 내 색조 화장품 수요가 늘고 있어 우리 기업도 재빨리 소비자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