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시장, 27년만에 20조원 돌파…‘혼밥·혼술족’ 1인 가구 덕분

4일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편의점 시장 규모(매출)는 20조4000억원으로 전년의 17조2000억원보다 18.6%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1989년 5월 세븐일레븐이 송파구 방이동에 국내 1호점을 선보인 지 27년 만이다. 편의점 상품은 초창기 음료와 과자, 라면 등에서 한층 진화해 매끼 식사를 해도 질리지 않을 정도의 고급화된 일회용 도시락, 원두커피, 화장품, 금융·택배서비스 등 생활편의 서비스 영역까지 확대됐다. [사진=CU 제공]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혼밥 혼술을 즐기는 1인 가구, 아이 없는 맞벌이 부부 2인 가구 등에 힘입어 국내 편의점 시장규모가 20조원을 돌파했다. 

4일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편의점 시장 규모(매출)는 20조4000억원으로 전년의 17조2000억원보다 18.6%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1989년 5월 세븐일레븐이 송파구 방이동에 국내 1호점을 선보인 지 27년 만이다.

편의점 시장규모는 2011년 10조원을 넘어선 뒤 5년 만에 다시 20조원을 돌파하면서 고속 성장세다. 2016년 말 기준 전체 편의점 수도 3만2611개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3만개를 훌쩍 넘겼다. 2015년의 2만8994개보다 12.5% 늘어난 수치다.

2014년 7.8%에 그쳤던 편의점 시장 성장률은 2015년 24.6%로 크게 뛰었으며 지난해도 18.6%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유통채널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소비심리 위축과 경기침체로 백화점, 대형마트 등 타 유통채널의 성장세가 꺾인 반면 편의점은 혼밥, 혼술을 즐기는 1~2인 가구 증가와 급속한 고령화 등에 힘입어 독보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에 힘입어 편의점 상품은 초창기 음료와 과자, 라면 등에서 한층 진화해 매끼 식사를 해도 질리지 않을 정도의 고급화된 일회용 도시락, 원두커피, 화장품, 금융·택배서비스 등 생활편의 서비스 영역까지 확대됐다.

업계는 1~2인 가구와 고령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국내 편의점 시장은 2030년까지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점포당 매출이 아직 일본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도 성장 여력이 있다는 기대다.  현재 일본의 편의점 수는 5만5600여 개에 이른다.

업계 1위인 씨유(CU) 관계자는 "1~2인 가구 증가, 오피스와 거주지역 인근 소량구매 패턴이 늘면서 편의점 시장의 성장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