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최순실 게이트에 막혀 경영 ‘올 스톱’ 위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2-01 18: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삼성 서초사옥[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채명석·유진희 기자 = 한국의 대표 기업 삼성의 경영시계가 또다시 멈춰설 조짐이다.

삼성은 지난달 19일 법원의 이 부회장 영장 청구 기각 결정 직후 잠정 중단해왔던 사업관련 활동을 재개했다.

하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의혹을 수사중인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를 신중히 검토중이라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경영 공백 위기감이 재확산되고 있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1일 “그룹의 큰 그림을 그리는 최고 경영진들이 특검 수사에 발목이 잡혀 있긴 하지만 이 부회장의 영장 기각으로 경영공백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면해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다”면서 “하지만 설 연휴 직후 불거진 이 부회장 영장 재청구 소식에 계열사 임직원들이 다시 동요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기인사 지연으로 중장기 성장전략 차질
삼성그룹은 이미 경영활동에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연말에 진행됐어야 할 사장단 정기인사가 하염없이 늦춰지고 있다는 점이다. 2017년 새해를 맞은 후 한 달이 넘도록 ‘되도록 빨리 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나왔을 뿐, 구체적인 일정은 여전히 미정인 상태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기본적인 연간 사업계획은 연말까지 큰 틀을 마련해 놨다"며 "이 계획의 디테일을 확정하고 추진 전술을 짜야 하는 이는 인사 후 새로 선임되거나 유임되는 경영진들"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어떤 것도 정해지지 않은 채 시간만 흘러가고 있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그룹 차원에서 추진 중인 신성장동력 사업 진출과 이와 관련된 인수·합병(M&A) 작업에도 불똥이 튀었다.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고 게열사간 역할을 중재해야 하는 이 부회장 등 그룹 컨트롤 타워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탓이다. 글로벌 경영환경이 불투명한 요즘, 삼성의 중장기 성장 전략은 탄력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사업구조 개편작업도 발목
삼성그룹은 지난 2014년부터 추진해온 사업구조 개편의 1단계 작업을 사실상 마무리하고 올해부터 계열사간 ‘수직통합’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수직통합은 범위를 확대해 핵심사업과 관련 전·후방 사업 모두를 하나의 ‘솔루션’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부품에서 완제품까지 핵심사업에 관련된 전체 사이클을 계열사를 통해 구축하는 수직계열과는 다른 개념이다.

수직통합의 핵심인 ‘솔루션’의 전제조건은 개별 계열사가 삼성전자와 같은 수준의 일류 기업의 위상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만의 ‘삼성’이 아니라 모든 계열사들의 ‘삼성’이 돼야 한다는 의미다.

에버랜드의 레이크사이드CC 인수의 의미를 수직통합의 관점으로 보면, 골프장 운영 경험과 신라호텔과 에버랜드 경영 노하우를 결합해 레저사업의 업그레이드를 도모하고, 삼성종합병원의 의료 시스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삼성물산의 레미안 아파트를 연계시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은 계열사간 밀접한 협업이 전제돼야 하지만 그룹 계열사간 기업문화가 달라 소통이 쉽지 않다.

따라서 오너 경영인인 이 부회장이 그 역할을 담당해야 하지만 특검 수사로 인해 경영활동이 위축되면서 제대로 추진이 안되고 있다.

◆냉골 한국경제, 삼성 리스크로 부정적 영향 가중
재계 전문가들은 삼성그룹이 흔들리면 한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삼성그룹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기 때문이다.

2015년 기준 삼성그룹의 연간 매출액은 272조원이었으며, 작년에는 300조원에 근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정부 예산 387조원의 80%, 한국의 국내 총생산(GDP) 1627조원(2014년, IMF)의 20%에 육박한다. 또한 국가 수출의 20%를 삼성이 담당하고 있으며, 정부 세수입의 약 8%를 삼성이 납세하고 있다.

삼성그룹은 국내 고용인원만 25만명 이상으로 국내 기업중 가장 많은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데 협력업체와 임직원 가족, 기타 기업, 기관 임직원 등을 포함하면 삼성의 가치사슬에 연결된 사람들의 수는 5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이 위기에 빠지면 국가경제 위축은 불보듯 뻔하다”면서 “수사는 하되 경영활동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배려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