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이 드는 이유? 나무들의 '생존전략'이었다…추운 겨울 나기 위한 노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1-01 13: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단풍이 드는 이유[​단풍이 드는 이유]

가을로 접어들면서 산에는 울긋불긋 단풍이 들고 있다. 

가을이 되면 사철나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나무들에서 단풍이 든다. 단풍이 드는 이유는 뭘까. 바로 추운 겨울을 대비하기 위한 나무들의 몸부림이다.

나무는 잎과 잎자루 사이에 떨켜층(조직이 딱딱하게 굳는 현상)을 만들어 잎과 줄기로 지나는 수분의 통로를 막는다. 겨울을 지내기 위해서 수분 함량을 낮추려는 것이다.

단풍이 드는 이유에는 나무의 생존 전략이 숨어 있다.

물이 부족해 푸른 빛을 내는 엽록소는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 엽록소 뒤에 있던 다른 빛깔의 물질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은행나무는 노란 빛을 내는 카로티노이드가, 붉은 색을 발산하는 안토시아닌이 그것이다.

붉은 색의 단풍잎이 땅에 떨어지면 안토시아닌이 흙속 뿌리로 스며든다. 안토시아닌 성분은 해충으로부터 나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단풍이 드는 이유 ​단풍이 드는 이유 ​단풍이 드는 이유 ​단풍이 드는 이유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