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민 '74.7%'…영리병원 "반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01 17: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도민 여론조사 등 의견 수렴 필요 '87.8%'

▲'의료민영화-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와 '의료영리화 저지 및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주도민운동본부'가 1일 여론조사 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 제주영리병원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 제주도민 대부분이 영리병원을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녹지그룹의 헬스케어타운 영리법인 설립 추진에 대해 74.7%가 반대 입장을 보였다. 찬성은 겨우 15.9%에 불과했다.

'의료민영화-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와 '의료영리화 저지 및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주도민운동본부'는 여론조사 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 제주영리병원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영리병원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중국기업의 대대적인 제주 투자 확대로 발생하는 문제'가 59.6%로 절반을 넘어섰다. 다음으로 '영리병원을 지으면 병원비가 비싸진다'(16.6%), '영리병원은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된다'(11.5%), '성형외과나 건강검진 병원은 이미 많다'(8.8%) 순이었다.

반면 영리병원을 찬성하는 이유로는 '의료관광을 위한 병원이 필요하다'가 50.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도에 병원이 더 필요하다'(30.2%), '도정이 하는 일이라서'(9.1%) 등의 의견이 뒤따랐다.

특히 영리병원 추진에 대해 도민들을 대상으로 다시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등 사전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7.8%로 월등히 높았다. 반면 정책결정은 도지사의 몫이라는 응답은 7.7%에 불과했다.

게다가 헬스케어타운 사업이 도민을 위한 비영리병원을 설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45.4%로 나왔다. 그리고 헬스케어사업 자체를 아예 그만둬야 한다는 의견도 41.2%나 됐다.

이들 단체는 “정부와 원희룡 도정에 의해 사회적 공감대나 공론화 없이 일방적으로 강행 추진되고 있는 제주 영리병원은 민의를 거스르는 정책의 대표적 사례”라며 “중국정부와 녹지그룹에 의해 도가 의료분야에까지 자본의 탐욕만을 좇아가는 땅으로 되어선 안 된다”고 질타했다.

이어 “정부는 제주영리병원, 원격의료 등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빌미로 의료민영화를 강행할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공공의료가 무엇인지 국민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들어야 할 때”라며 “원 지사 역시 제주영리병원 추진 중단을 이제라도 선언하는 것이 도민에 대한 예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