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진핑 시대 개막> 후진타오 완전 퇴진…'사심 없는 지도자'이미지 구축

아주경제 조윤선 기자=지난 10년간 중국을 이끌어온 후진타오(胡錦濤)가 15일 당 총서기직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을 모두 내려놓고 완전히 퇴진해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됐다.

그동안 원로들은 정치 일선에서 물어나도 군권을 틀어쥘 수 있는 중앙군사위 주석자리를 끝까지 놓지않고 버티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강한 권력욕을 보였던 장쩌민(張澤民)과 달리 후진타오가 중앙군사위 주석직을 거리낌 없이 내놓은 것은 자신을 '사심 없는 지도자'로 역사에 남기고 싶어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장쩌민까지 이어져온 관행을 끊고 후계자에게 온전히 권력을 이양함으로써 중국 정치체제 개혁사의 한 장을 장식하고 싶었다는 것이다.

후진타오의 완전한 퇴임은 원로들이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완전히 끊지는 못하더라도 이를 상당 부분 약화시키는데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자신이 먼저 특권을 버리는 모습을 실천함으로써 장쩌민을 비롯한 다른 원로들에게 강한 정치적 메시지를 남겼다는 분석이다.

정치분석가 천즈밍(陳子明)은 "후진타오가 권력 포기를 택한 것은 순조로운 권력 교체를 나타내는 새로운 선례를 남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재임 내내 별다른 변화가 없었던 정치 개혁을 위한 후 주석의 가장 과감한 조치"라 평가했다.

그러나 후진타오의 완전 퇴진을 선한 동기로 받아들이지 않는 이도 적지 않다.

장쩌민보다 군 장악력이 떨어지는 후진타오가 비난을 감수하고 실익이 없는 중앙군사위 주석 자리를 지키는 것보다 대의명분을 중시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 정치적 실익을 도모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