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옵티머스 뷰2에 차별화된 ‘UX’ 장착해 글로벌 시장 공략

[사진제공=LG전자]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LG전자가 차별화된 UX를 활용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섰다.

LG전자는 15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달 출시한 ‘옵티머스 뷰2’에 탑재된 창조적 UX를 소개하고 UX 분야 글로벌 강자로 도약을 선언했다.

이 회사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큰 흐름을 UX로 보고 차별화된 UX를 발굴 및 개발을 위해 관련 연구 확충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최근 2년간 UX 관련 조직을 확대하고 전문 인력도 꾸준히 늘려 왔다.

또 스마트폰을 비롯해 실제 생활과 접목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UX에 중점을 둔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또 세계최고 기술력과 하드웨어가 결국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UX를 담기 위한 기반이라고 판단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키로 했다.

이날 LG전자는 ‘옵티머스 뷰2’에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지만 없으면 불편한 실용적인 UX를 대거 탑재했다고 설명했다

‘Q슬라이드’는 LG전자가 가장 자신 있게 내놓은 UX가운데 하나다.

이 기능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서로 다른 2개의 전체 화면을 동시에 겹쳐서 보여준다.

‘Q슬라이드’를 이용하면 DMB로 드라마를 보다가 친구에게 채팅 메시지가 오면 DMB화면 위로 채팅 창이 반투명 화면으로 보여 DMB와 채팅이 동시에 가능하다.

투명도는 ‘슬라이드 버튼’을 통해 쉽게 조절된다.

외국 드라마를 보다가 궁금한 단어가 나오면 드라마를 중단하지 않고 단어장이나 인터넷 창을 열어 검색하면 된다.

‘실시간 미러콜’은 통화 중에도 상대방과 같은 내용을 함께 볼 수 있는 기능이다.

사진, 웹 페이지, 지도, 노트, 문서 등의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다.

‘콜 메시지’ 기능은 또 전화를 거는 것과 동시에 메시지도 함께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화를 꼭 받아야 하는 급한 용무의 경우 매우 유용하다.

‘옵티머스 뷰2’ 사용자들끼리는 ‘뷰톡’ 기능을 이용해 통화하면서 실시간으로 손 글씨와 그림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LG전자가 세계최초로 스마트폰에 탑재한 ‘Q리모트’는 가전제품을 스마트폰에 한 번만 등록해주면 리모컨을 대신해 집 안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다.

특히 ‘홈 디텍팅(Home Detecting)’ 기능을 도입해 사용자가 집에 들어가는 순간 이미 등록된 와이파이 신호를 인지하기 때문에 잠금 화면 상태에서도 리모컨 자판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Q트랜스레이터(QTranslator)’는 44개의 언어를 카메라 스캔으로 인식해 최대 64개 언어로 빠르게 번역해 준다.

LG전자는 낯선 언어의 안내문이나 표지판, 메뉴판 등 해당 단어에 스마트폰 카메라만 갖다 대면 자동으로 번역, 해외여행에 매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Q트랜스레이터’ 앱을 실행한 후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궁금한 단어 위에 십자(+) 표시를 맞추면 단어의 뜻이 바로 번역된다.

‘안전지킴이’는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할 경우 스마트폰이 친구나 가족에게 자동으로 문자를 전송해 주는 기능이다.

‘옵티머스 뷰’에서 첫 선을 보인 후 꾸준히 호평 받고 있는 ‘Q메모’는 겹쳐쓰기 모드가 추가됐다.

예를 들어 Q메모 화면에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 은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계좌번호 입력이 편리하다.

‘옵티머스 뷰2’는 차별화된 ‘시각적 UX’인 5인치 대화면과 4:3 화면비를 유지했다.

4:3 화면비는 높은 가독성, 최적의 텍스트 입력으로 호평 받고 있다.

여기에 좌우, 상하 각각의 베젤을 얇게 해 제품 전체의 세로, 가로 길이가 전작보다 각각 약 7mm, 약 5mm 줄면서 화면이 시원하고 넓게 보인다.

또 모서리와 후면에 곡선이 생겨 한 손에 한 손에 쏙 들어와 그립감이 뛰어나다.

더 진화된 러버듐 펜 2.0은 보다 얇아진 촉으로 섬세한 필기와 세밀한 촉감을 만들어 낸다.

또 ‘옵티머스 뷰2’와 함께 제공되는 전용 케이스는 펜 거치가 가능하고, 케이스 커버를 닫고도 통화할 수 있다.

‘옵티머스 뷰2’는 별도 판매 제품을 통해서도 차별화된 UX를 제공한다.
무선충전패드는 일반형의 경우 더욱 넓어졌고 고급형은 가로, 세로 등 어느 방향으로도 거치가 가능하다.

열쇠고리 모양의 생활방수형 ‘원 키’는 버튼 하나로 스마트폰이 보이지 않을 때 원 키를 누르면 경고음이 울려 쉽게 찾을 수 있다.

또 여러 명이 함께 셀카를 찍거나, 음악을 들을 때 운전 중 스피커폰으로 전화 받을 때에도 사용가능한다.

마창민 LG전자 MC한국마케팅담당 상무는 “생각지도 못한 UX를 바탕으로 모바일 라이프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는 시장선도 기업이 될 것”이라며 “스마트폰 UX에 핵심역량을 지속 투입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