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면수 기자) 금융연구원 지동현 상임자문위원은 31일 `금융회사의 대출 쏠림 억제방안'이란 제하의 보고서를 통해 "금융회사의 대출 쏠림현상이 계속 발생하는 원인은 고객의 원리금 상환능력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쏠림현상을 억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대출의 쏠림현상이란 최근 은행 대출의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확대된 데서 보듯 특정 시기에 특정 부문에 금융회사의 대출이 집중되는 현상으로 호황기에는 여신 공급이 지나쳐 거품을 일으키고 불황기에는 신용 경색으로 거품이 붕괴하는 부작용을 낳는다.
지 위원은 "고객의 원리금 상환능력을 제대로 분석하려면 산업 전문가와 통계 분석가를 충분히 보유해야 한다"며 "당장 성과가 나오지 않는 전문 인력을 늘리려면 금융회사 경영진의 임기를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지배구조가 불안정할수록 은행장이 연임을 염두에 두고 임기 3년차에 대출을 대폭 늘리는 `3년차 은행장 증후군'이 나타난다"며 "따라서 은행장 임기를 늘리면 대출 쏠림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tearand76@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