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차관은 이날 MBC 방송에 출연해 "경제가 본격 회복세에 이를 때까지 일정 기간 취업 불안을 해결하려면 청년 인턴제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청년 실업 해법은 민간 경제 활성화 뿐 아니라 창업에 역점을 둬야 하며 정부는 젊은이들에게 창업 기회를 주는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취업자 20만명 증가와 관련해 "올해 경제가 5% 성장하면 20만명의 신규 고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정부는 단기적으로 희망근로 등을 통해 직접 고용을 하며 고용 훈련을 통해 취업 능력을 고취시키고 구인.구직 정보 데이터를 확충해 인력 수급 불일치를 해소할 것"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이어 "궁극적으로 고용 문제는 민간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서비스 산업 규제 완화와 녹색성장 발전에 힘을 쓸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서비스산업 선진화가 미흡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아직 관련 부처 간 협의가 더 필요한 상황이며 교육, 의료 분야가 협의를 통해 올해 더 좋은 성과를 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세종시의 부지를 대기업에 헐값으로 제공한다는 의혹에 대해 "원형지 형태로 기업에 땅을 제공하므로 인근 산업단지보다 낮은 것이며 만약 기업이 도로를 닦고 공장을 짓게 되면 인근 산업단지와 조성원가가 비슷해 정부의 추가 재정 부담이 발생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혁신 도시에도 세종시와 유사한 혜택이 주어준다"면서 "기업.혁신 도시에 대지를 원형지로 공급하는 문제는 개발 유형에 따라 토지 공급 방식도 달라지기 때문에 상황을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주경제=인터넷뉴스팀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