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국경절, 황금연휴 맞이 관광객 특수…내수효과 기대
    中 국경절, 황금연휴 맞이 관광객 특수…내수효과 '기대' 중국이 국경절·중추절(10월 1~8일) 황금연휴를 맞아 관광객 특수를 누리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경제매체 차이롄서,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 중국 매체는 국경절·중추절 연휴를 맞아 유명 관광지에 예년보다 관광객이 훨씬 늘어났다고 3일 보도했다. 중국 교통운수부에 따르면 연휴 첫날인 지난 1일 전국 지역 간 인구 이동량은 연인원 3억3578만8000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1.4% 늘었다. 철도 여객 수송인원은 7.9% 증가해 2313만2000명으로 하루 기준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다. 아울러 선박도 1 2025-10-03 19:44
  • 미국과 관세전쟁 중국·브라질, 1조4000억 규모 투자 펀드 조성 약속
    '미국과 관세전쟁' 중국·브라질, 1조4000억 규모 투자 펀드 조성 약속 미국이 주도하는 관세 전쟁에 맞서고 있는 중국과 브라질이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양국 주요 은행은 10억 달러(약 1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 펀드 조성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3일(현지시간) 중국 국유 수출입은행(CEXIM)과 브라질 국영 경제사회개발은행(BNDES)이 각각 6억 달러(약 8445억원), 4억 달러(약 5630억원)를 출자해 펀드를 조성하고, 내년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펀드는 에너지 전환·인프라 건설·광산업·농업·인공지능(AI) 등의 분 2025-10-03 18:42
  • 뉴욕증시, 연방정부 셧다운에도 최고치…강세 지속
    뉴욕증시, 연방정부 셧다운에도 최고치…강세 지속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에도 뉴욕증시가 강세를 지속했다.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78.62포인트(0.17%) 상승한 4만6519.7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15포인트(0.06%) 오르며 6715.35에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88.89포인트(0.39%) 증가해 2만2844.05를 기록했다. 이에 뉴욕증시 주요 3대지수는 전부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넘어섰다. 투자자들은 연방 2025-10-03 06:06
  • 오픈AI, 기업가치 700조 평가…세계 1위 스타트업으로
    "오픈AI, 기업가치 700조 평가…세계 1위 스타트업으로" 오픈AI가 기업가치를 5000억달러(약 700조8000억원)로 평가받은 내부자 주식 매각을 마무리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은 오픈AI 전·현직 직원들이 회사로부터 받아 보유해온 주식 약 66억달러어치를 트라이브캐피털을 포함하는 투자자 그룹에 매각했다고 전했다. 애초 오픈AI가 허용한 주식 매각 규모는 100억달러어치를 넘었지만 실제 전·현직 직원들이 매각에 나선 금액은 이에 못 미쳤다. 이는 전·현직 직원들의 회사 미래 가치에 대한 신뢰를 2025-10-02 16:05
  • 韓 철강 최대 수출시장 EU, 철강 관세 50%로 인상…수입 쿼터는 절반으로
    '韓 철강 최대 수출시장' EU, "철강 관세 50%로 인상…수입 쿼터는 절반으로" 유럽연합(EU)이 미국과 캐나다처럼 수입산 철강 관세를 50%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오는 7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철강 부문 관련 새 정책 패키지를 발표할 계획이다. 무관세가 적용되는 철강 수입 쿼터 물량도 현행보다 절반 가까이 줄이는 방안도 여기에 포함될 예정이다. 블룸버그 통신도 수입 쿼터 소진 물량부터 적용되는 관세율이 현행 25%에서 인상되고 현재 50%를 부과하는 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의 정책과 유사 2025-10-02 09:49
  • 美대법, 트럼프의 연준이사 해임 시도에 제동…1월까지 유보
    美대법, 트럼프의 연준이사 해임 시도에 제동…"1월까지 유보" 미국 연방대법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해임을 시도 중인 리사 쿡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의 직위를 당분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대법원은 이날 법무부가 제출한 '쿡 이사 해임 중단 명령을 즉각 철회해 달라'는 요청에 대해 즉각 판결하지 않고, 내년 1월 구두변론을 열어 최종 판단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쿡 이사는 대법원 최종 판결 전까지 직위를 유지하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전임 바이든 행정부 임기 때 임명된 쿡 이 2025-10-02 08:46
  • [뉴욕증시 마감] 의약품 관세 면제 기대감에 상승...일라이릴리  8%↑
    [뉴욕증시 마감] 의약품 관세 면제 기대감에 상승...일라이릴리 8%↑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미국 연방 정부가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사태를 맞았으나 일시적이라는 낙관론이 우위였고 의약품 관세 면제에 대한 기대감도 커져지면서 4거래일 연속 강세를 이어갔다. 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21포인트(0.09%) 오른 46,441.1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74포인트(0.34%) 오른 6,711.20, 나스닥종합지수는 95.15포인트(0.42%) 상승한 22,755.16에 장을 닫았다. 2025-10-02 08:20
  • [뉴욕증시 마감] 셧다운 우려에도 상승…다우 사상 최고치 경신
    [뉴욕증시 마감] 셧다운 우려에도 상승…다우 사상 최고치 경신 30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우려에도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1.82포인트(0.18%) 오른 4만6397.89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7.25포인트(0.41%) 뛴 6688.46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8.86포인트(0.31%) 상승한 2만2660.01로 마감했다. 장 초반 증시는 셧다운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 속에 대체로 약세 흐름을 보였다. 도널드 2025-10-01 08:17
  • 2050년까지 美 원전 490조 투자 붐…SMR 상용화는 2035년 이후
    "2050년까지 美 원전 490조 투자 붐…SMR 상용화는 2035년 이후"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에서 2050년까지 약 3500억달러(약 490조원) 규모의 원자력 발전 투자 붐이 일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산하 경제분석기관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는 이날 보고서에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핵심 동력으로 한 이번 투자가 미국의 원자력 발전 용량을 53기가와트(GW) 늘려 전체 용량을 159GW까지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번 전망이 수십 년간 사실상 정체돼 있던 산업의 큰 도약을 의미하긴 하지만 행정부가 설정 2025-09-30 15:07
  • 트럼프, 목재 및 파생 제품 관세 포고문 서명…韓 싱크대 영향권
    트럼프, 목재 및 파생 제품 관세 포고문 서명…韓 싱크대 영향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목재 및 그 파생 제품에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다. 이에 한국산 싱크대도 영향권에 놓일 전망이다. 29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수입 목재에 10%, 욕실 화장대와 주방 캐비닛(수납장, 싱크대), 천으로 덮인 가구류 등 목재 파생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다. 다만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한 일본과 유럽연합(EU)에 대한 관세는 상한이 15%로 설정된다. 해당 관세는 내달 14일부터 발효 예정이다. 아 2025-09-30 11:12
  • [뉴욕증시 마감] 셧다운 우려에도 AI 테마 강세…엔비디아 2.05%↑
    [뉴욕증시 마감] 셧다운 우려에도 'AI 테마' 강세…엔비디아 2.05%↑ 뉴욕증시가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 중단) 우려에도 기술주 중심의 매수세가 유입되며 강세로 마감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8.78포인트(0.15%) 오른 4만6316.07에 마감했다.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7.51포인트(0.26%) 상승한 6661.21을 기록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07.09포인트(0.48%) 급등한 2만2591.15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시장에서는 기술주가 강세를 이끌었다. 엔비디아는 2.05% 상승하며 AI(인공지능) 2025-09-30 08:19
  • 소비 늘고 수입 줄었다…美 2분기 GDP 3.8% 깜짝 증가
    소비 늘고 수입 줄었다…美 2분기 GDP 3.8% '깜짝' 증가 미국 경제가 2분기에 2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수입이 감소한 데다 소비 지출이 증가하면서 경제 성장세가 살아났다. 미 상무부는 2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확정치가 3.8%(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됐다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2023년 3분기(4.7%) 이후 약 2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지난달 발표한 잠정치(3.3%)보다는 0.5%포인트 상향 조정된 수치로,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3%)도 크게 웃돌았다. 관세 부과를 앞두고 나타났던 일시적인 재고 확보 요인이 줄면서 수입 2025-09-26 14:41
  • 트럼프, 틱톡 거래 승인…오라클·실버레이크·MGX 투자 참여
    트럼프, 틱톡 거래 승인…"오라클·실버레이크·MGX 투자 참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인기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투자자들이 인수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25일(현지시간)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틱톡의 미국 내 합작법인을 신설해 지분 과반을 미국인 투자자가 보유하고, 바이트댄스의 지분은 20% 미만으로 제한하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틱톡의 미국 법인이 "미국 투자자들과 미국 기업들, 훌륭한 회사들과 훌륭한 투자자들에 의해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틱톡 매 2025-09-26 10:25
  • 트럼프 또 관세폭탄 투하...10월부터 대형트럭 25%·가구 50%·의약품 100% 관세
    트럼프 또 관세폭탄 투하..."10월부터 대형트럭 25%·가구 50%·의약품 100% 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대형 트럭에 대해 다음 달 1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또 주방수납장·욕실 세면대에는 50%, 소파 등 가구에는 30%, 의약품에는 100%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우리의 위대한 대형 트럭 제조사들을 불공정한 외부 경쟁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10월 1일부로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모든 대형 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에 따라 피 2025-09-26 09:47
  • [뉴욕증시 마감] 금리인하 기대 약화 AI 거품론에 하락...오라클 5.6%↓
    [뉴욕증시 마감] 금리인하 기대 약화 AI 거품론에 하락...오라클 5.6%↓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가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이 떨어진 영향이다. 2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3.96포인트(0.38%) 내린 4만5947.3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3.25포인트(0.50%) 떨어진 6604.72, 나스닥종합지수는 113.16(0.50%) 밀린 2만2384.70에 장을 마쳤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와 기술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약세를 보였다. 오라클 2025-09-26 08:22
  • 미 2분기 성장률 확정치 3.8%…잠정치 대비 0.5%p↑
    미 2분기 성장률 확정치 3.8%…잠정치 대비 0.5%p↑ 미 상무부는 2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확정치가 3.8%(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됐다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지난달 발표한 잠정치(3.3%)보다 0.5%포인트 상향 조정된 수치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3%)도 크게 웃돌았다. 확정치는 잠정치 추계 때는 빠졌던 경제활동 지표를 반영해 산출한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직전 분기 대비 성장률(계절조정)을 연간 성장률로 환산해서 GDP 통계를 발표한다. 2025-09-25 21:49
  • [뉴욕증시 마감] AI 거품 의구심 지속...이틀 연속 하락
    [뉴욕증시 마감] AI 거품 의구심 지속...이틀 연속 하락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이틀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증시 고평가' 발언과 엔비디아·오픈AI의 대규모 투자에 대한 우려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2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50포인트(0.37%) 하락한 4만6121.28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95포인트(0.28%) 밀린 6637.97, 나스닥종합지수는 75.62포인트(0.33%) 떨어진 2만2497.86 2025-09-25 08:22
  • [뉴욕증시 마감] 파월 주가 상당히 고평가 발언에 하락...나스닥 0.95%↓
    [뉴욕증시 마감] 파월 "주가 상당히 고평가" 발언에 하락...나스닥 0.95%↓ 2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과 엔비디아의 대규모 투자 계획에 대한 의구심 속에서 하락 마감했다. 특히 파월 의장이 증시에 대해 "상당히 고평가된 것 같다"고 말하자 지수는 낙폭을 확대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8.76포인트(0.19%) 밀린 4만6292.78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6.83포인트(0.55%) 떨어진 6656.92, 나스닥종합지수는 215.50포인 2025-09-24 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