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국 집값 상승세 지속…건설경기, 회복까지 더딘 흐름"

  •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내년 수도권 집값 "2~3% 상승"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일대. [사진=연합뉴스]
올해 들어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며 시장 양극화가 심화한 가운데 내년에도 수도권 집값이 2~3% 상승할 것이란 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반면 지방은 수요 약세와 인구 감소 등 영향으로 보합 내지 하락세가 예상돼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고금리, 고물가 영향으로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건설경기는 여러 우호적인 신호가 감지되나 제한적인 회복세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됐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하 건정연)은 25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2026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발표' 세미나를 열고 내년도 주택시장 전망을 발표했다.

발제를 맡은 고하희 건정연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시장은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뚜렷한 한 해였다"며 "수도권은 매수심리와 거래, 가격이 모두 회복된 반면,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하락과 정체가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고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착공 감소·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3기 신도시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이 이어지면서 2~3% 수준의 상승세가 예상된다"며 "지방은 인구·수요 기반 약화로 1% 내외 하락 또는 보합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전세시장 역시 전국적으로 2~3% 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고 부연구위원은 "전세대출 규제와 기존 세입자의 계약 갱신 증가로 전세 매물이 줄어 공급이 축소되면서 가격 상승이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 공급 측면에서는 올해 대비 착공은 약 6% 증가하고, 준공은 약 2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2022~2023년 침체기에 급감한 착공 실적의 영향으로 2025년 이후 준공 물량은 감소할 것"이라며 "다만 착공은 2023년 저점 이후 회복세로 전환됐고, 공사비 안정 등 공급 환경 개선으로 착공 실적 회복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내년 건설 시장 여건은 부정적 요인이 더욱 크게 부각되면서 소폭 회복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금리 인하 기대감, PF 불확실성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 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으나 착공 감소 등 누적된 선행지표 부진과 지역 건설경기 양극화, 안전 규제 부담이 여전히 작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박선구 건정연 연구위원은 "올해 국내 건설경기는 금리 인하 기대감 등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수주·착공 감소 등 선행지표 부진이 이어지면서 연간 건설투자 규모는 약 9% 감소한 264조원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며 "내년에는 약 2% 수준의 제한적 회복이 예상되지만 본격적인 반등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건설시장에는 금리 인하 기대, PF 리스크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 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있지만, 착공 감소, 지역 건설경기 양극화, 안전 규제 부담 등은 여전히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건설업 계약액도 올해 7% 감소한 후, 내년에는 4% 증가한 105조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공종별 회복 속도 차이와 지방 전문업체의 경영 부담이 지속되는 데 따른 영향이다.

김희수 건정연 원장은 "국내 건설투자가 지난 1990년대 이후 성장률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며 향후에도 평균 0~1% 수준의 저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경제성장률 대비 낮아진 건설투자 증가율, 국내총생산(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의 장기적 감소 등 구조적 제약이 지속되는 만큼 산업 전반의 새로운 생존 전략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