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미국에 2000억 달러 투자하고 상호관세 39→15% 인하

기 파르믈랭 스위스 경제장관 사진AP
기 파르믈랭 스위스 경제장관 [사진=AP·연합뉴스]
스위스가 미국에 2000억 달러(약 291조원) 규모 투자를 약속하고, 미국은 스위스에 대한 상호관세를 현행 39%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스위스 정부는 14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과 이 같은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스위스 기업들은 2028년까지 직업교육과 훈련을 포함한 2000억 달러 규모의 직접 투자를 미국에 집행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로 스위스는 모든 공산품과 수산·해산물, 민감하지 않은 농산물 시장을 개방하며 육류는 소고기 500톤, 들소고기 1000톤, 가금류 1500톤의 무관세 쿼터(할당량)가 적용된다. 의약품과 금, 화학제품은 기존처럼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기 파르믈랭 스위스 경제장관은 “몇 달 안에 양해각서 내용을 법제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홈페이지에 ‘미·스위스·리히텐슈타인 무역합의 타결’ 팩트시트를 올리며 “미국 수출업자들에게 스위스 및 리히텐슈타인 시장에 대한 전례 없는 접근을 제공하고, 미국 내 수십억 달러 규모 투자를 촉진해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2024년 기준 미국의 대(對) 스위스·리히텐슈타인 무역 적자는 385억 달러였으며, 이번 합의로 2028년까지 적자를 해소할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스위스 정부는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건설적인 협력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파르믈랭 장관은 트럼프에게 감사하는 이유를 묻는 취재진에게 “현실 정치를 해야 하며 지금 해결책을 찾은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월 말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과 통화 직후 스위스산 수입품에 39%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이는 올해 4월 적용된 31%보다도 높고, 유럽연합(EU)이 미국과 합의한 15% 관세의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스위스는 당초 10% 수준을 기대하며 미국 정부 실무진과 무역합의문 초안까지 작성했으나 협상 과정에서 관세율 39%가 결정됐다.

당시 언론에서는 켈러주터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서 무역흑자 원인을 '가르치듯' 해명하다가 화를 불렀다고 보도했다. 관세율 39%는 작년 스위스의 대미 무역흑자 385억 달러(약 56조원)를 기준으로 10억 달러당 1%씩 매겼다는 설이 유력하다.

스위스 대미 수출에서 의약품이 약 60%를 차지하며 시계, 정밀기계, 초콜릿, 커피 캡슐, 치즈도 미국 수출 주요 품목이다. 양대 제약업체 로슈와 노바티스는 미국 수요 100%를 현지 생산할 계획을 이미 발표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미국과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은 내년 초까지 무역 협정을 최종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