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크 강(Luke Kang) 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총괄 사장 [사진=최송희 기자]
월트디즈니 컴퍼니가 아시아·태평양(APAC)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을 강화한다. 디즈니+ 창작 생태계에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한 APAC 콘텐츠 비중을 높이고, 현지 스토리텔러와의 협업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13일 오전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에서는 '디즈니+ 오리지널 프리뷰 2025(Disney+ Originals Preview 2025)' 행사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는 디즈니+에서 공개 예정인 APAC 및 글로벌 오리지널 콘텐츠를 미리 만나볼 수 있는 행사다. 한국과 일본 등 APAC 오리지널을 비롯한 일반 엔터테인먼트 라인업이 소개되며, 정상급 스타들과 크리에이티브 파트너가 함께 참석했다.
이날 루크 강 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디즈니+는 APAC에서 새로운 이야기와 크리에이터를 꾸준히 발굴해 왔다"며 "이 지역의 콘텐츠 제작과 협업을 앞으로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루크 강 사장은 올해 쇼케이스의 의미를 "디즈니가 APAC 오리지널 제작을 시작한 지 5년이 되는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첫 쇼케이스를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했지만 이제는 아시아·미국·중남미 등 약 400명의 기자가 현장에서 APAC 콘텐츠를 확인하는 규모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디즈니+는 2021년부터 APAC 오리지널 프로젝트를 본격화해 현재까지 155편 이상의 콘텐츠를 제작했다. 루크 강 사장은 "'무빙', '카지노' 등 한국·일본 작품이 글로벌 시상식과 시청 성과에서 의미 있는 반응을 얻었다"며 "APAC 스토리의 시장성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디즈니는 웹툰·만화·소설·게임 등 다양한 창작 기반과 협업하는 구조를 유지할 계획이다. 그는 "디즈니 콘텐츠 팀은 지역 창작자들과 함께 로컬 스토리를 개발하고 이를 글로벌 시장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CJ ENM과의 협업도 주요 발표 내용 중 하나였다.
루크 강 사장은 "최근 발표한 CJ ENM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티빙(TVING) 한국 콘텐츠가 일본 디즈니+에서 제공된다"며 "한국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고 APAC 오리지널의 시청 기반을 확장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 "ESPN을 호주·뉴질랜드 디즈니+에서 제공하며 스포츠 콘텐츠도 강화했다"며 "지역별 번들 서비스 확장을 통해 콘텐츠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시청 흐름에서도 APAC 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 애니메이션은 글로벌 시청 시간의 60% 이상이 아태 외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유럽 시청자를 중심으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드라마는 브라질·멕시코 등 중남미 지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즈니의 장기 전략 역시 APAC 오리지널을 기반으로 한 확장을 포함한다.
루크 강 사장은 "APAC 오리지널 콘텐츠를 장기적으로 글로벌 프랜차이즈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디즈니가 보유한 IP, 플랫폼, 마케팅 역량을 투입해 이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디즈니+는 ‘위대한 이야기들이 살아 숨 쉬는 곳(Where Great Stories Live)’이라는 철학 아래 제작·투자 전략을 이어갈 것"이라며 "창작자와 협업해 새로운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13일 오전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에서는 '디즈니+ 오리지널 프리뷰 2025(Disney+ Originals Preview 2025)' 행사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는 디즈니+에서 공개 예정인 APAC 및 글로벌 오리지널 콘텐츠를 미리 만나볼 수 있는 행사다. 한국과 일본 등 APAC 오리지널을 비롯한 일반 엔터테인먼트 라인업이 소개되며, 정상급 스타들과 크리에이티브 파트너가 함께 참석했다.
이날 루크 강 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디즈니+는 APAC에서 새로운 이야기와 크리에이터를 꾸준히 발굴해 왔다"며 "이 지역의 콘텐츠 제작과 협업을 앞으로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즈니+는 2021년부터 APAC 오리지널 프로젝트를 본격화해 현재까지 155편 이상의 콘텐츠를 제작했다. 루크 강 사장은 "'무빙', '카지노' 등 한국·일본 작품이 글로벌 시상식과 시청 성과에서 의미 있는 반응을 얻었다"며 "APAC 스토리의 시장성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디즈니는 웹툰·만화·소설·게임 등 다양한 창작 기반과 협업하는 구조를 유지할 계획이다. 그는 "디즈니 콘텐츠 팀은 지역 창작자들과 함께 로컬 스토리를 개발하고 이를 글로벌 시장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CJ ENM과의 협업도 주요 발표 내용 중 하나였다.
루크 강 사장은 "최근 발표한 CJ ENM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티빙(TVING) 한국 콘텐츠가 일본 디즈니+에서 제공된다"며 "한국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고 APAC 오리지널의 시청 기반을 확장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 "ESPN을 호주·뉴질랜드 디즈니+에서 제공하며 스포츠 콘텐츠도 강화했다"며 "지역별 번들 서비스 확장을 통해 콘텐츠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시청 흐름에서도 APAC 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 애니메이션은 글로벌 시청 시간의 60% 이상이 아태 외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유럽 시청자를 중심으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드라마는 브라질·멕시코 등 중남미 지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즈니의 장기 전략 역시 APAC 오리지널을 기반으로 한 확장을 포함한다.
루크 강 사장은 "APAC 오리지널 콘텐츠를 장기적으로 글로벌 프랜차이즈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디즈니가 보유한 IP, 플랫폼, 마케팅 역량을 투입해 이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디즈니+는 ‘위대한 이야기들이 살아 숨 쉬는 곳(Where Great Stories Live)’이라는 철학 아래 제작·투자 전략을 이어갈 것"이라며 "창작자와 협업해 새로운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