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주담대 둔화에 기타대출 증가…"풍선효과 유의해야"

  • 전세자금 수요 감소 영향…가계대출 한 달 새 3.5조 증가

  • 한은 "부동산 가격 상승률 축소됐으나 기타대출 변동성 커"

서울 강남구에서 바라본 도심 전경 20231130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울 강남구에서 바라본 도심 전경. 2023.11.30[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지난달 전세자금 수요가 줄면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확대되면서 풍선효과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전월 대비 3조5000억원 증가한 117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담대(934조8000억원) 증가 폭은 2조1000억원으로 집계되면서 전월보다 증가 규모가 소폭 축소됐다. 전세자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7~8월 주택거래 둔화의 영향이 반영된 결과다.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8조원)은 1조4000억원 늘었다. 지난 7월(-6000억원), 8월(+3000억원), 9월(-5000억원)과 비교하면 큰 폭의 증가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기타대출은 국내외 주식 투자 확대, 10·15 부동산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장기 추석 연휴 등에 따른 자금 수요가 맞물리면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 전환했다”며 “기타대출은 변동성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이런 추세가 얼마나 지속될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0·15 대책 이후 수도권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축소되고 있다”며 “가격 둔화세가 더딘 측면이 있고 일부 비규제 지역에서는 풍선효과도 나타나고 있어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10월 은행권 기업대출(1366조원)은 전월 대비 5조9000억원 늘었다. 대기업대출(294조5000억원)과 중소기업대출(1071조5000억원)은 각각 2000억원, 5조7000억원 증가했다.

대기업대출은 전분기 말 일시상환분 재취급에도 불구하고 운전자금 수요 감소, 대체 조달 수단 활용 등으로 소폭 증가했다. 중소기업대출은 주요 은행들의 대출 영업 지속,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증가 규모가 확대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