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차후 건조 항모에 '레일건' 장착 시도"

  • "성공 시 전투 판도 변화할 것"

중국인민해방군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인민해방군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차후 건조할 핵 추진 항공모함에 레일건 등 미래 무기를 장착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군사평론가인 량팡 중국 국방대학 교수는 최근 중국 관영 중국중앙TV(CCTV)에서 방영된 한 프로그램에 출연해 "중국의 미래 핵 추진 항공모함은 고에너지 레이저 무기와 전자기 레일건 등의 무기를 장착할 수 있다"고 대답했다.

레일건은 전자기력으로 가속해 탄환을 쏘아 보내는 무기로 장거리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춰 미래 전쟁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특히 화약을 사용하는 무기와 비교해 비용은 저렴하면서 파괴력은 높아 각국이 관심을 갖고 개발해 왔다. 하지만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점에서 아직 뚜렷한 레일건 성공사례는 없다.

중국에서는 인민해방군 해군공정대학의 국가핵심전자기에너지연구소 연구진이 2023년 11월 해군공정대 학술지에 마하7(음속 7배) 속도로 날아가는 레일건 포탄을 개발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당시 해당 연구진은 1초에 2500m를 나는 속도의 탄환이 중국의 위성항법시스템인 베이더우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받으면서 목표물을 타격할 때까지 비행경로를 지속 조정해 오차범위 15m 이내의 정확도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SCMP는 량팡 교수의 발언은 2년 전 해군공정대학 연구진의 연구 결과와 맥이 닿아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핵 추진 항모에선 전자기 무기와 핵동력 전기 시스템을 통합해 레일건 이외에도 각종 레이저 무기 및 고출력 마이크로파 장치를 활용한 전자기 무기를 장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SCMP는 해군공정대학의 마웨이밍 소장을 인용해 레일건 등의 무기가 현실화하면 "100년 이상 유지돼 온 해군 함대의 전투 판도가 크게 바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의 세번째 항공모함 '푸젠함'은 지난 5일 공식 취역했다. 이로써 중국은 랴오닝함, 산둥함, 푸젠함 등 3척의 항모 전력을 보유하게 됐다. 이는 11척의 항공모함을 보유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로, 중국 해군이 태평양 및 대만해협 일대에서 해상 작전 능력을 한층 강화했음을 의미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