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보고회는 2026년 도정 주요 현안 및 지역 공약 사업의 구체적 실현 방안, 핵심 신규 사업 추진 방향과 국비 확보 대응 등 내년도 경북도의 주요 정책과 예산 전략을 총망라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경북도는 정부 국정 과제와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한 중앙 부처 정책 동향을 실·국 간 공유하고 이에 따른 경북의 7대 공약 15대 세부 과제의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신공항의 조속한 추진과 영일만항 확충, 미래 신성장 동력(바이오, 이차전지·미래차, 녹색 철강·수소 산업 육성) 확보와 의료 혁신을 위한 의대 설립 및 주요 교통망 확충 전략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국정 과제에 대응한 핵심 사업의 논리 개발과 중앙 부처, 국회 설득 방안 마련에 초점을 두고 사업 실행력을 높이기로 했다.
세계경주포럼, APEC 문화전당 등 역사 문화 관광 분야와 인공지능(AI)·경제·산업 및 평화·통일·번영 분야의 사업과 함께 정상회의 개최지인 경주 뿐만 아니라 시군 간 연계 사업 발굴을 통해 포스트 에이펙(APEC)의 열기를 도내 전 지역으로 확산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산불 피해 지역 혁신적 재창조와 관련해서는 지난 10월 말에 시행된 ‘산불 지원 특별법’을 활용해 ‘사람이 모이고, 돈이 되는’ 사업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도는 청송, 영덕 등의 특별도시재생사업, 스마트 과원 조성 등을 통한 피해 지역 재건과 스마트 농림업 육성, 지역 특화 산림 휴양시설 조성 등을 위한 산림투자선도지구와 산림경영특구 지정·운영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지역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바이오헬스, AI·디지털, 반도체, 가상융합, 로봇 산업의 전략적 육성과 동시에 양자기술 등 차세대 게임체인저에 대한 선제적 투자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내년 국비 확보 대응 전략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회 시정 연설의 주요 키워드인 인공지능(AI), K-컬처와 콘텐츠, 안전, 지방 우대 재정 원칙 등을 따른 경북의 강점과 여건을 철저히 분석해 중앙 부처와 관계 기관에 적극 설명하고 국회와 ‘원팀’으로 국회 예산 심사에 대응하기로 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주 에이펙(APEC) 성공을 통해 경상북도의 저력이 다시 한번 입증되었고, 이런 자신감으로 제대로 일해야 할 때”라고 강조하며 “포스트 APEC 사업, 신공항, 영일만항, 산불 피해 지역의 혁신적 재창조 등 핵심 사업을 연이어 성공시켜 경북의 성공 신화를 이어가자”며 2026년 준비에 빈틈없이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