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이어 버거킹도...中사업 지분 매각한 이유는

  • 버거킹, 中사모펀드에 지분 83% 매각...합작법인 설립

  • 변화무쌍한 中소비시장...현지 협력 없이는 적응 힘들어

  • 자국제품 선호현상도 뚜렷...장기적 성장 위해 '현지화' 필수

중국 버거킹 사진바이두
중국 버거킹 [사진=바이두]

중국 시장에서 실적 부진에 시달리던 스타벅스·버거킹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중국 사업 지분을 현지 투자사에 매각하고 있다. 중국 경기 침체로 소비가 부진한 영향도 있지만, 중국 내 소비 트렌드 변화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면서 이를 빨리 캐치할 수 있는 현지 기업들과의 협업 없이는 살아남기 힘든 환경이 됐다는 분석이다.
버거킹, 中사모펀드와 합작법인 설립...2035년까지 매장 4000개로 확장 계획
11일 차이신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버거킹 모회사인 레스토랑브랜즈인터내셔널(RBI)은 전날 중국 사모펀드 CPE위안펑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버거킹 중국 사업을 3억5000만 달러(약 5130억원)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두 기업은 합작법인인 버거킹 차이나를 설립할 계획이다. 지분은 CPE위안펑이 83%, RBI가 17%씩 나눠 갖는다. 이 거래는 내년 1분기에 마무리될 예정으로 버거킹 차이나는 향후 20년간 중국 내에서 버거킹 브랜드를 독점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된다.

CPI위안펑은 초기 투자금을 매장 확장과 마케팅, 메뉴 혁신, 운영 역량 강화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내 버거킹 매장도 현재 1250개에서 2035년까지 4000개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중국 현지 사모펀드사인 CPI위안펑은 중국 최대 밀크티 브랜드(매장수 기준) 미쉐(MIXUE)와 중국판 에르메스로 불리는 라오푸골드, '라부부'로 대박을 터트린 팝마트에 약 100억 위안을 한 바 있다. 소비 분야에서의 투자 안목이 그만큼 높다는 얘기로, 최근 실적 부진에 직면하긴 했지만 버거킹의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한 것이다.

버거킹은 KFC보다 18년, 맥도날드보다 15년 늦은 2005년에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후발주자인 데다 중국 진출 초기엔 직영 방식을 고집하면서 매장 확장이 더뎠고, 첫 7년 동안 오픈한 매장이 60곳에 불과했다. 이후 2012년 버거킹 중국 사업권을 인수한 터키 TAB 푸드(TFI)와 미국 사모펀드 팬지아데카가 프랜차이즈 운영 방식으로 전환하며 매장수를 빠르게 늘렸지만, 2018년에 매장수 1000개를 돌파한 이후 다시 성장세가 둔화했다.

지난해 기준 버거킹의 중국 내 매장 수는 1474개로 KFC(1만2000여개)와 맥도날드(7000여개)에 크게 뒤처진다. 심지어 2012년 설립된 중국 로컬 패스트푸드 브랜드 타스팅(9000여개)보다도 적다. 이 같은 성장 둔화에 더해 가맹점주들과의 갈등 등 경영 문제에 시달리던 버거킹은 결국 지난 2월 중국 사업 재편을 결정하고 투자자 모색에 나섰다.
변화무쌍한 中소비시장...장기적 성장 위해 '현지화' 필수
버거킹뿐만이 아니다. 앞서 이달 4일에는 중국 매출 부진에 시달리던 스타벅스도 중국 사업 지분 60%를 중국 사모펀드인 보위캐피털에 매각하기로 합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중국 소비 침체로 글로벌 브랜드들이 중국 시장에서 손을 떼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에 적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전략 전환에 나섰다는 시각도 있다.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현지화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조슈아 코즈바 RBI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시장의) 변화와 혁신은 미국 등 다른 시장에서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일어나고 있다"면서 "이같은 끊임없는 갈증은 소비자들의 새로운 취향을 충족시키고 경쟁사들과 경쟁할 수 있을 만큼 빠르게 메뉴를 혁신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스타벅스에게 특히 큰 난관이었다"고 짚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이마케터는 "중국 소비자들의 안목이 높아지고 자국 브랜드 선호 경향이 커지면서 기업들은 현지 트렌드와 선호도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면서 "현지 기업과의 협력은 이 부분에 있어 전문성을 제공하고, 도전적이지만 매우 중요한 시장에서의 장기적 성공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