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초양극화 시대] 10·15 대책 한 달…거래 멈췄는데 강남만 오른다

  • 강북 등 외곽은 거래 급감…강남3구는 신고가 경신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고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난 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고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10·15 대책 후 한 달간 '3중 규제'로 묶인 서울 부동산 시장은 초양극화 양상을 보였다. 강북 및 외곽지역은 대출 규제로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한 반면, 고가 아파트가 몰린 강남3구(서초·송파·강남구)에서는 거래가 이어지면서 집값 차이가 더 벌어지고 있다.

1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12일까지 30일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2483건으로 직전 기간(1만561건) 대비 76.4% 감소했다. 강남3구 거래량은 7.1% 감소에 그쳤다. 서초구, 송파구는 대책 발표 전보다 거래량이 각각 1%, 0.7% 감소해 보합세에 가까웠다. 강남구(-22%) 다른 지역과 비교해 감소 폭이 작았다.

가격은 오히려 신고가를 경신하는 모습이다.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는 지난달 28일 전용면적 84㎡가 31억에 손바뀜했다. 잠실동 트리지오는 이달 4일 전용 84㎡가 32억1000만원에 거래되며 시세를 지키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나머지 지역은 '거래 실종' 수준으로 냉각됐다. 특히 영등포구(-93%), 성동구(-89%)는 직격탄을 맞았다. 6·27 규제 후 반사이익을 받으며 과열됐던 만큼 매수세가 빠르게 꺼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영등포구 신길동 래미안에스티움은 9월부터 규제 발표일인 15일까지 거래량이 32건으로 구 내에서 가장 거래가 많은 단지였다. 그런데 발표 후 매매가 단 한 건도 나오지 않고 있다. 

거래 절벽은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따른 실거주 의무가 생긴 이후로 두드러졌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토허구역 발효일인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서울에서는 797건의 아파트 매매 거래가 이뤄졌다. 이 중 강남·서초·송파구가 560건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노원·도봉·강북 등 외곽지역은 거래 단절 상태다. 강북구에서는 지난달 20일 이후로 아파트 매매 거래가 나오지 않고 있다. 도봉구에서는 8건, 노원구는 단 2건 나왔다. 오히려 토허구역을 예고한 15일부터 시행일 직전인 19일까지 규제를 피하려는 수요가 몰렸다.

특히 집값 상승세가 크지 않았던 중저가 지역이 규제 직격탄을 맞은 모습이다.

반면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3구는 규제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핵심지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몰리고, 현금 동원력이 높은 수요층이 많아 규제 영향이 덜하다는 지적이다. 

우병탁 신한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이미 국민평형(전용 84㎡) 기준 30억~50억원대 자가를 가진 수요자가 강남 내에서 갈아타기 하려는 문의를 보면 대출 규제 언급 자체가 없다"며 "잇따른 규제 발표에도 강남권만은 가격이 방어될 거란 믿음이 깔려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