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광주시 도심침수 저감방안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 열어

  • 도심침수 저감 위한 구체적 대안 모색

  • (사)한국저영향개발협회가 연구 중간결과 발표

  • 국내외 저영향개발(LID) 적용 사례 등 다양한 개선 방향 제시

사진경기 광주시의회
[사진=경기 광주시의회]


경기 광주시의회 의원연구단체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 연구회가 지난 7일 광주시 도심침수 저감방안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10일 시의회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빈도 증가와 도시 확장에 따른 불투수면적 확대 등으로 높아지는 침수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마련됐다.
 
보고회에서는 (사)한국저영향개발협회가 연구 중간결과를 발표하며, 광주시의 토지이용과 물순환 현황 분석,  물순환 관련 법·제도 검토, 국내외 저영향개발(LID) 적용 사례 등 다양한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사진경기 광주시의회
[사진=경기 광주시의회]


특히, 무(無)시멘트 투수블록을 활용한 친환경 투수포장 기술, 주차장·공원 공간을 활용한 복합형 저류지 조성 방안, AI 기반 통합 물관리 시스템(디지털트윈 플랫폼) 등 실효성 높은 기술 대안이 집중 논의됐다.
 
주임록 대표의원은 “기후위기 대응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광주시가 기후변화 시대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회는 이번 중간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내용을 보완해 오는  21일 최종보고회에서 구체적인 정책 제안과 실행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