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간 군사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의 세 번째 항공모함 ‘푸젠함’이 공식 취역했다. 중국은 이로써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항모 전력을 보유하게 됐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지난 5일 오후 하이난성 싼야 군항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이 참석한 가운데 푸젠함 취역 및 부대 군기 수여식이 열렸다고 7일 보도했다.
푸젠함은 2022년 6월 진수된 중국의 첫 자체 설계·건조 사출형 항모로, 배수량 약 8만 톤, 길이 316m, 폭 76m에 달한다. J-15, J-35 등 함재 전투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기존 ‘스키점프식’ 대신 전자기식 캐터펄트(사출기)를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전자기식 사출 장치를 탑재한 항모는 미국의 ‘제럴드 R. 포드함’에 이어 푸젠함이 세계 두 번째다. 이 방식은 짧은 거리에서 더 무거운 기체를 신속하게 이륙시킬 수 있어 작전 효율을 크게 높인다.
이번 취역으로 중국은 랴오닝함, 산둥함, 푸젠함 등 3척의 항모 전력을 보유하게 됐다. 이는 미국(11척)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로, 중국 해군이 태평양 및 대만해협 일대에서 해상 작전 능력을 한층 강화했음을 의미한다.
시진핑 주석은 취역식에서 직접 중국군기 ‘8·1군기’를 함장에게 수여하고, 항모 갑판에 올라 함재기 사출 시연을 참관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직접 사출 버튼을 눌러 장비 작동을 점검하기도 했으며, 조종사들과 만나 “전문기술과 전투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푸젠함의 핵심 전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차이치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서열 5위), 장궈칭 국무원 부총리, 장성민 중앙군사위 부주석 등 핵심 안보라인이 총출동했다. 중국 해군과 남부전구, 하이난성 관계자들도 대거 참석해 취역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푸젠함은 대만을 마주보는 중국 푸젠성의 이름을 딴 항모로, 대만해협을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시점에 취역했다. 이에 따라 대만은 “푸젠함이 실제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2030년까지 4개 항모전단을 완비하고, 2035년까지 총 6척의 항모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번 푸젠함의 투입은 중국이 미국 해양 패권에 본격적으로 도전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한편, 시진핑 주석은 전날 하이난에서 열린 업무보고에서 “하이난 자유무역항의 전면 개방이 오는 12월 18일 시작된다”며 “이는 중국의 대외 개방 확대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조치”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