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가 신규 취급한 전체 가계대출 가운데 신용점수 750~701점 차주는 평균 5.93%의 금리로 대출을 받아갔다. 이는 800~751점에 해당하는 고신용자가 빌려간 대출의 평균보다 0.02%포인트(p) 낮다. 심지어 700~651점 차주에게는 750점 차주보다 더 낮은 5.91%의 금리를 내줬다. 650~601점 차주의 평균 금리 역시 5.48%로 850점인 고신용자보다 금리가 낮았다.
다른 은행에서도 금리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BNK부산은행의 800~751점 차주의 평균 금리는 5.01%로 850점의 차주보다 금리가 0.2%p 낮았다. 650~601점 차주 금리는 5.29%로 800점 차주에게 적용된 평균금리 5.29%보다도 낮았다. 경남은행의 750~701점 차주의 금리는 5.88%로 집계됐다. 이는 800~751점 차주에게 적용된 평균금리(6.31%)보다 낮았다. 600점 이하의 차주가 NH농협은행에 대출을 하면 700점 금리(6.11%)보다 높은 5.98%에 돈을 빌릴 수 있다.
마이너스통장도 마찬가지다. 토스뱅크의 700~651점 차주 금리는 6.32%로 900~851점 차주(6.68%)보다 낮게 제공했다. 카카오뱅크 650점 이하 차주의 금리는 1~2등급인 900~851점 차주 금리(6.30%)와 같게 책정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750점 이하 차주는 고신용자보다 낮은 금리를 받았다. 다만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에서 5등급 이하 대출 한도는 1등급보다 5분의 1 축소되거나 대출이 사실상 거절될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서는 기계적으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맞추는 데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출에 신용도 외 외부 요소가 개입되면 부실 대출이 늘어나고 은행의 건전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고신용자까지 2금융권으로 몰리면 중·저신용자들이 밀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용점수가 높아지는 '점수 인플레이션'이 심화돼 점수가 높다고 금리를 무작정 낮추기 어렵다"며 "인터넷은행도 저신용자에게 낮은 금리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경우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이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