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딕 체니 전 미국 부통령. [사진=연합뉴스]
미국 공화당 내 '네오콘(신보수주의)'의 상징으로 불렸던 딕 체니 전 미국 부통령이 3일(현지시간) 별세했다. 향년 84세.
CNN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체니 전 부통령은 폐렴과 심혈관 질환 합병증으로 와이오밍 자택에서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세상을 떠났다.
1941년 네브래스카주 링컨에서 태어난 그는 제럴드 포드 행정부에서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냈고, 조지 H.W. 부시 대통령 시절 국방장관으로 걸프전을 지휘하며 '강경파 실무가'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부통령으로 재임하며 '그림자 대통령'이라 불릴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그는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설계한 핵심 인물로, 2003년 이라크 침공의 정치·군사 전략을 주도했다. 냉전 이후 미국 외교정책의 방향을 '선제공격'으로 전환시킨 주역으로 평가 받지만, 동시에 무리한 군사 개입과 고문 논란 등으로 국제사회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12년 심장이식 수술을 받을 만큼 건강이 악화됐던 체니는 퇴임 이후에도 공화당의 강경 보수 노선을 상징하는 인물로 남았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는 정반대 행보를 보였다. 그는 트럼프를 "미국 민주주의에 가장 큰 위협"이라고 비판하며, 2024년 대선에서는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에게 투표했다고 밝혔다.
체니 전 부통령의 딸 리즈 체니 전 하원의원 또한 트럼프 탄핵을 지지하며 아버지와 함께 '반(反)트럼프 공화당'의 상징으로 평가 받았다.
미 정치사에서 체니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 '부통령 이상의 부통령'으로 기억된다. 그의 유산은 강한 리더십과 냉전식 현실주의 외교의 부활로 요약되지만, 동시에 미국 보수주의의 양면성을 드러낸 인물로 남았다.
CNN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체니 전 부통령은 폐렴과 심혈관 질환 합병증으로 와이오밍 자택에서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세상을 떠났다.
1941년 네브래스카주 링컨에서 태어난 그는 제럴드 포드 행정부에서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냈고, 조지 H.W. 부시 대통령 시절 국방장관으로 걸프전을 지휘하며 '강경파 실무가'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부통령으로 재임하며 '그림자 대통령'이라 불릴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그는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설계한 핵심 인물로, 2003년 이라크 침공의 정치·군사 전략을 주도했다. 냉전 이후 미국 외교정책의 방향을 '선제공격'으로 전환시킨 주역으로 평가 받지만, 동시에 무리한 군사 개입과 고문 논란 등으로 국제사회 비판을 받기도 했다.
체니 전 부통령의 딸 리즈 체니 전 하원의원 또한 트럼프 탄핵을 지지하며 아버지와 함께 '반(反)트럼프 공화당'의 상징으로 평가 받았다.
미 정치사에서 체니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 '부통령 이상의 부통령'으로 기억된다. 그의 유산은 강한 리더십과 냉전식 현실주의 외교의 부활로 요약되지만, 동시에 미국 보수주의의 양면성을 드러낸 인물로 남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