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5동 농림축산식품부.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연간 거래금액이 3일 기준 1조원을 돌파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1년 전보다 2.9배 늘어난 것으로 올해 목표액 또한 조기 달성한 것이다.
온라인도매시장은 산지와 소비지 등 다양한 주체가 직접 참여해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 도매시장이다. 단계적 유통구조로 인한 물류비 증가를 억제해 기존 도매시장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거래금액과 참여업체 모두 증가했다. 일평균 거래 금액 지난해 18억4000만원에서 32억6000만원으로 약 77% 상승했고 거래 참여업체는 3804곳에서 5272곳으로 약 39% 늘었다.
부류별로 청과 거래가 46.4%로 가장 많았고 축산(40.5%), 양곡(8.2%), 수산(4.9%)이 뒤를 이었다. 특히 청과부류는 지난해 산지-소비지 직거래 비중이 전체 거래 금액의 28%였지만 올해 44.1%로 크게 확대됐다. 도매시장에 반입되지 않는 직배송 비율은 65.7%에서 75.9%로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온라인도매시장 1조원 달성을 발판으로 2030년까지 거래금액 7조원 달성을 목표로 나아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판매자 가입 요건 완화, 농업인 가격 결정권 강화를 위한 경매·역경매 기능 도입 등 온라인도매시장 제도·물류 기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한다.
농식품부는 현재와 같은 추세면 연말까지 약 1조 1700억원의 거래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홍인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모니터링을 통해 온라인도매시장에서 실질적인 유통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성과평가 체계를 마련해 관리할 계획"이라며 "시장 운영의 전문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해 운영자의 전문경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도매시장은 산지와 소비지 등 다양한 주체가 직접 참여해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 도매시장이다. 단계적 유통구조로 인한 물류비 증가를 억제해 기존 도매시장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거래금액과 참여업체 모두 증가했다. 일평균 거래 금액 지난해 18억4000만원에서 32억6000만원으로 약 77% 상승했고 거래 참여업체는 3804곳에서 5272곳으로 약 39% 늘었다.
부류별로 청과 거래가 46.4%로 가장 많았고 축산(40.5%), 양곡(8.2%), 수산(4.9%)이 뒤를 이었다. 특히 청과부류는 지난해 산지-소비지 직거래 비중이 전체 거래 금액의 28%였지만 올해 44.1%로 크게 확대됐다. 도매시장에 반입되지 않는 직배송 비율은 65.7%에서 75.9%로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현재와 같은 추세면 연말까지 약 1조 1700억원의 거래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홍인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모니터링을 통해 온라인도매시장에서 실질적인 유통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성과평가 체계를 마련해 관리할 계획"이라며 "시장 운영의 전문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해 운영자의 전문경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