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군·부산시·동남원자력의학원, '양성자치료센터' 구축 맞손

  • 동남권 첨단 암 치료 특화도시 본격화

  • 소아·난치암 맞춤치료 체계 마련, 지역 정주·일자리 효과도

양성자치료센터 구축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 협약식에서 주요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기장군
양성자치료센터 구축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 협약식에서 주요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기장군]

기장군은 부산시,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과 ‘양성자치료센터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협약 기관들은 양성자치료센터 조성, 지역 완결적 암 치료체계 확립, 소아·난치암 맞춤치료 기반 마련,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공동 대응키로 했다.

행사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정종복 군수,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 김영부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장, 이진경 한국원자력의학원장 등이 참석했다. 

양성자치료는 브래그 피크 특성을 활용해 종양 부위에 고선량을 집중하면서 주변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정밀 치료로, 소아암과 뇌·두경부·간·췌담도 등 고형암에서 치료 이점이 보고돼 있다.

현재 국내에선 국립암센터와 삼성서울병원이 양성자치료를 운영 중이며, 지역 분산을 위한 추가 센터 구축도 추진되고 있다. 

부산·기장 일대는 서울대병원이 추진 중인 중입자치료센터와 더불어 입자치료 클러스터의 축을 형성하고 있다.

기장 중입자치료센터는 회전 갠트리 치료실 증축 등 마무리 공정이 진행 중으로, 가동 시 양성자·중입자 치료의 상호 보완을 통해 동남권 암 치료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양성자치료기 구축사업이 성공하면 기장에 조성 중인 중입자치료기와 시너지를 내 첨단 암 치료의 허브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시는 “입자치료 역량을 단계적으로 확장해 환자 이동 부담을 낮추고 지역 의료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협약 당사자인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은 정책·연구 측면의 지원을 맡아 클러스터 운영 기반을 보강할 계획이다. 

한편 협약식에 이어 ‘입자치료를 통한 방사선의과학기술 발전과 클러스터 협력 방안’을 주제로 제5차 미래기술혁신(방사선의과학) 포럼이 열려 임상·연구·산업 협력 과제가 논의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