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 농민들, 생존권 위협에 '나락 야적 시위'

  • 농협 선지급금 6만 원대, "최소 7만 원 돼야"

  • 반복되는 논란, 구조적 해결책 시급

  • 순천농협 "지역 내 최고가 책정, 최종 정산에 최선"

순천 지역 벼 재배 농민들이 제대로 된 쌀값 보장을 촉구하며 나락 야적 시위에 나섰다 사진독자제공
순천 지역 벼 재배 농민들이 제대로 된 쌀값 보장을 촉구하며 나락 야적 시위에 나섰다. [사진=독자제공]

전남 순천 지역의 벼 재배 농민들이 쌀값 보장을 촉구하며 나락 야적 시위를 열고 정부와 농협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했다.

농민들은 현재의 쌀값 수준으로는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수확한 벼 16톤을 실은 화물차들을 몰고 농협 앞에 집결, 대형 벼 포대(800kg)를 지게차로 쌓아 올리는 '나락 야적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지난해 벼멸구, 올해 깨씨무늬병 등 농업 환경의 악조건 속에서도 어렵게 수확했지만, 쌀값은 안정적인 보장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농민은 “올해 쌀값이 지난해보다 25% 상승했다는데, 이는 유통 과정의 문제일 뿐 우리 농민들의 소득은 전혀 늘지 않았다”며, 소비자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생산자는 제값을 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유통 구조를 강하게 비판했다.

현재 순천을 비롯한 전남 지역 농협에서 제시한 벼 40kg 기준 선지급금은 약 6만 원대다. 농민들은 최소 7만 원 이상이 되어야 적정하다고 주장하며, 농협의 낮은 선지급금이 시장 전체 쌀값 하락을 유도하는 악순환의 시발점이라고 지적했다.

농민들은 "농협이 기준 선급금을 낮게 책정하면, 그 금액이 전반적인 쌀 거래 가격에 그대로 적용된다"며, 농협의 책임을 강조했다. 

순천 농협 측은 농민들의 어려움에 공감하면서도, 현재의 선지급금은 최종 확정된 쌀값이 아니며, 이미 전남 지역 농협 중 가장 높은 금액을 책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농협 관계자는 "선지급금 책정은 전국 단위의 정산 과정을 반영한 결과"라며, "최종적으로 농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결과를 만들어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벼 재배 농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정부 지원이 이뤄져 왔으며 추가 대책을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쌀값 논란은 매년 반복되는 고질적인 문제로, 올해는 쌀값 인상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의 체감 소득이 늘지 않았다는 점에서 유통 구조와 정책적 불균형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농민들은 이번 시위를 통해 "단순히 쌀값 인상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정당한 가치 평가와 땀에 상응하는 대우를 요구한다"고 호소하며 정부와 농협의 적극적인 협력과 실효성 있는 생존권 보장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