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 대책에 폭등 멈췄지만… 신고가에 비규제지역 풍선효과 '꿈틀'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을 '삼중 규제'로 묶는 10·15 대책을 내놓은 지 2주가 지난 가운데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이어지던 서울 집값 상승세가 빠르게 식고 있다. 초고강도 대책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한 주 만에 반토막 나는 등 시장 관망세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신고가 거래가 이뤄지고 있고, 규제를 피한 수도권 일부 지역은 오히려 상승 폭을 키우는 등 시장 불안 조짐은 동일한 상황이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지난달 27일 기준)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23% 올랐다. 이는 직전 주 상승률(0.50%)보다 0.27% 급감한 수치다. 지난 10·15 대책의 수요 억제 효과가 본격적으로 통계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상승폭이 둔화한 것과 별개로 선호 지역에서는 여전히 신고가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래미안아이파크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29일 41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잠실동 트리지움 전용 59㎡는 29억6000만원(9층)에 신고가를 경신했다. 리센츠 전용 84㎡ 역시 35억원으로 최고가에 팔렸다. 이번 대책으로 절대적인 거래량은 줄고 있지만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등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한 '똘똘한 한 채' 수요는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10·15 대책에 따른 부작용들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규제를 피한 일부 지역에서는 풍선효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동탄을 끼고 있는 화성은 보합에서 0.13% 상승했고, 서울과 인접한 구리는 0.18% 상승하며 직전 주(0.10%)보다 상승 폭을 확대했다.

갭투자가 차단돼 아파트 매물이 급격히 줄면서 전세 시장 불안도 커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보다 0.14% 상승해 직전 주(0.13%)보다 소폭 확대됐다. 10월 둘째 주 상승률(0.17%)이 추석연휴로 인해 2주간의 상승률인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지난해 9월 둘째 주(0.17%)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이는 지난 6·27 대책을 시작으로 이번 10·15 대책까지 수요 억제책이 시행되면서 매물이 잠긴 탓으로 풀이된다. 갭투자가 금지되면서 전세 매물이 크게 줄어들었고,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도 매물은 대책 발표일인 10월 15일 이후 13% 감소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큰 감소폭이다. 일부 지역이 규제 대상으로 포함된 경기 또한 같은 기간 5% 줄어 서울 다음으로 감소폭이 컸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거래 절벽 속 관망세로 3개월에서 6개월 정도 조정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며 "특히 대출 축소로 인해 임대차 시장의 머무는 실수요자가 늘어나고, 매물이 줄면서 전셋값이 지속해서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