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9일(현지시간) 두 달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하며, 오는 12월부터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을 종료하기로 했다.
워싱턴포스트(WP)와 CNBC 등에 따르면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기준금리를 4.00~4.25%에서 3.75~4.00%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두 번째 인하로, 고용 부진과 경기 둔화를 반영한 결정이다.
연준은 FOMC 발표문에서 "올해 들어 고용 증가세는 둔화됐으며, 실업률은 다소 상승했지만 8월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며 "보다 최근에 나온 지표들도 이런 흐름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연준은 "최근 몇 달간 고용 하방의 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한다"면서도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플레이션은 올해 초보다 상승했으며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진단했다.
연준은 이번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FOMC 위원 12명 중 10명의 찬성으로 결정됐다. '트럼프의 경제 책사'로 불리는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빅컷'(0.5%포인트 인하)을, 제프리 슈미트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금리 동결을 주장했다. 빅컷과 동결이 동시에 반대 의견으로 등장한 것은 이례적이다.
연준은 오는 12월 9~10일 열리는 올해 마지막 FOMC 회의에서 추가 인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2월에 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은 기정사실이 아니다"라며 "정책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이후 금리를 동결해 오다 올해 9월과 10월 두 차례 인하했다. 당초 연말에 추가 인하가 예상됐지만 연준은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위원들 간 의견 차가 커진 가운데, 향후 경제 지표에 따라 금리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또 고용 부진보다 물가 상승 위험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 추가 인하를 미룰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연준은 이와 함께 2022년 6월 재개했던 양적긴축(미국채 등 보유 금융자산 매각)을 12월 1일부터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최근 단기 유동성 부족 우려가 커진 데다, 팬데믹 시기 양적완화로 공급된 유동성의 상당 부분이 이미 흡수됐다고 판단한 데 따른 조치다. 이에 따라 연준 위원들은 중앙은행의 자산 포트폴리오 축소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연준의 양적긴축 종료로 시장의 유동성 여건이 완화되고 미 국채 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양적긴축은 연준이 보유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아 시중 자금을 흡수하는 정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